본문 바로가기

근근막통증이해(교근To손가락까지)

가재미근의 통증유발점(TrP)과 자가 강화 스트레칭

가재미근(Soleus)


1) 원어읽기: Soleus(SO-le-us)= "발바닥을 움직이는"

근육의 이름은 근육의 작용(action)에 의해 이름이 생겼지만, 우리는 생선인

가재미를 이름 따 "가재미근"이라 한다.

                             

" Jogger' heel"


- 비복근의 심부에 있는 넓고 납작한 근육으로 지속성과 기립자세와 보행 시 안정근으로 작용한다.

- 족척근(plantaris)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가재미근의 해부도

기시(Origin): 비골두, 비골과 경골의 후면에서 기시한다.

정지(Insertion): 아킬레스건을 경유하여 종골에 정지한다.

작용(action): 발목의 저측굴곡(plantar flexion)

신경(nerve): 경골신경(tibia nerve)




그림1) 가재미근의 해부도

 



    - 가재미근은 Slow twitch fiber)로 구성되어 비복근보다도 수축력이 약하므로 빠른 동작의

수행능력은 비복근보다 떨어진다.

그러나 지속성의 동작에서는 비복근보다 우세하여 비복근의 일부와 함께

기립자세를 유지하고 보행 시에는 안정근으로 작용하는데. 특히 뒷굽이 높은 구두를 신은 여자에게는

 가재미근의 활동은 증가한다. 가재미근은 비복근보다 근방추(muscle spindle)가 많기 때문에

족근반사(Achilles tendon reflex)는 주로 가재미근에 의에 나타난다.


  

 

그림2) 가재미근을 제거한 심부의 경골신경과 각종 동맥과 정맥 분포도


3) 통증(pain): 발목, 발등 부종의 원인근. 어린이 성장통


4) 가재미근의 통증유발점과 전이통 부위

가재미근의 전이통은 통증유발점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부위로 전이된다.

통중유발점이 가장흔히 생기는 곳은 가재미근의 내하연이며,

전이통은 발 뒤꿈치와 종골건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가재미근의 통증유발점에

의한 발뒤꿈치의 통증은 직업적인 "런너(runner)들에게서 흔히 일어나는 증상이다.

때로는 전이통이 밤에 심해져서 수면에 지장을 주는 경우도 있지만, 수면 중에 장딴지의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에는 가재미근 보다 비복근의 통증유발점을 먼저 찾아보아야 한다.

통증유발점은 가재미의 기시부인 비골의 부근에 생기기도 하는데 이 때는 통증유발점과

인접한 장딴지에 상부에 전이통이 나타난다. 매우 드물지만 통증유발점이

가재미근 하외측에 생기면 같은쪽의 천장관절에 전이통이 나타나 허리통증으로 느낀다.

가재미근은 통증유발점에는 전이통 외에도 발목과 발의 부종, 족관절 반사의 감소,

족관절배측굴곡력의 감소 등이 나타난다.

가재미근은 등척성수축(Isomertic contraction)을 반복하여 하퇴를 지나는

정맥내의 정맥판과 함께 하퇴에 정체되는 혈액을 심장으로 짜 올리는 근정맥 펌프 작용을 한다.(TrP1=축빈)

따라서 통증유발점이 생겨 가재미근의 근정맥 펌프기능이 제한되어 하퇴의 정맥 흐름이

제한이 되어 발과 발목이 쉽게 붓게 된다.

  

 

그림4) 가재미근의 통증유발점(TrP1,2,3)전이통 부위


- 가재미근에는 근방추(muscle spindle)가 많기 때문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족관절 반사가 감소되고

심한 경우에는 거의 소실되기도 한다. 통증유발점에 의한 족관절 반사의 감소는 추간판 탈출증, 티아민 결핍,

당뇨병성 말초신경증의 경우와는 달리 종골건이 아닌 근복(muscle belly)상의

통증유발점을 타진하면 국소연축반응에 의해 발의 저측굴곡이 나타난다.


5)가재미근의 문제 인식

족관절의 배측굴곡이 제한되면 허리를 세우거나 발바닥을 땅에 붙이고는 쪼그리고 앉을 수 없어서

발뒤꿈치를 들고 발끝으로 앉아야하며, 쪼그린 자세에서 바닥의 물건을 들어 올릴 수가 없게 된다.

 심해지면 비탈길을 올라가거나 계단을 오르내리기도 힘들어 진다.

발뒤꿈치로 체중을 지지하지 못하고, 어린이 성장통처럼 느껴진다.

펭귄처럼 걸을 때 비복근의 문제에 의한 것이다.


  그림5) 가재미근의 테스트: 화살표 방향으로 배측굴곡했을 때 가재미근의 TrP가 활성화 되면 20도 이상 배측굴곡 할 수가 없다.

  

 

그림6) 가재미근 페달 운동: 정맥 펌핑 강화운동: 발목의 배측굴곡과 저측굴곡운동,

A: 완전한 배측굴곡, B: 완전한 저측굴곡, C: 중지와 중립위치 휴식, D: 다른 발목 배측굴곡, E: 완전한 저측굴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