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교육

고관절의 외회전근과 내회전근 고관절의 외전근의 주근육은 중둔근으로 이 근육이 약해지면 몸이 외측으로 기운다. 고관절의 내전근은 대퇴골의 안쪽에 있는 근육으로 다리를 안쪽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더보기
상지Upper Limb / 견관절 근육들의 작용들 상지 Upper Limb / 견관절 근육들의 작용들 더보기
신경계와 상완신경총 신경계와 상완신경총 더보기
요통과 관련된 신경총(대퇴신경과 폐쇄신경) 더보기
레깅스와 하지정맥류 레깅스 즐기는 20대 여성 하지정맥류 늘다. 레깅스나 스키니진은 정맥순환을 뱅해하여 20대 여성에서 환자 증가율이 5.4% 로 증가했다. 몸에 꽉끼는 옷 때문에 20대 여성중 하지정맥류 환자들이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7년 부터 2012년까지 건강보험 진료.. 더보기
다래끼는 왜 생길까? 알버트 박사는 다래끼는 단지'눈꺼풀 위에 생긴 여드름"이라고 한다. 이것은 속눈썹이 자라는 소낭이나 그것에 연결된 피지선이 감염되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우리의 몸은 감염균과 싸우기 위해 이 부위에 여분의 혈액을 모으고, 혈액은 몸속의 감염균과 싸우는 전사들을 바로 이곳으로 .. 더보기
사망 후 강직현상은 무엇인가? 연결고리의 결합(근수축)과 연결고리(Crossbridges)의 분리(근안정)는 ATP와 관련되어 있다. 인간이 사망하면 ATP의 생산이 멈춘다. ATP의 결핍으로 연결고리가 분리되는 것을 막아 근육은 수축한 상태로 남아 있고 뻣뻣해진다. 이 변화를 사후 강직 또는"죽임의 강직"이라고 일컫는다. 사후 강.. 더보기
간의 혈액 공급과 간문맥 순환 간의 혈액공급과 혈액순환 간의 혈관은 특이한 배열구조를 가지고 있다. 문맥순환과 관련된 3그룹의 혈관은 간문맥, 간정맥, 간동맥이다. 간문맥 순환의 목적은 소화기관, 특히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물질이 풍부한 혈액을 간으로 운반하기 위함이다. 흡수되지 못한 물질은 대장으로 통해 직장, 항문에서 밖으로 배출된다. 간은 대사작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소화성 최종산물이 간에 쉽게 접근 할 수 있어야 한다. 간을 통과하는 혈액에서 많은 영양분이 추출되거나 조절된다. 간문맥(Portal Vein)은 소화기관에서 혈액을 회수하여 간으로 보내는 큰 정맥으로 상장간막정맥과 비장정맥(Splenic vein)이 합쳐진 것이다. 상장간막정맥(Superior mesenteric vein)은 대부분의 소화와 흡수를 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