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 구조 및 운동(Joint Structure and Motions)
팔꿈치(주관절) 복합체는 세 개의 뼈, 세 개의 인대, 두 개의 관절,
그리고 하나 캡슐(활액낭,capsule)로 이루어져 있다.
척골 및 요골(ulna and radius)과 상완골(humerus)을 이루는 관절은
일반적으로 팔꿈치(주)관절이라고 한다(그림 10-1).
그림. 10. 1) 팔꿈치관절, 주관절
상완골에서, 활차(trochlea)는 척골의 활차 오목(notch)와 관절하고,
상완골소두(capitulum)는은 요골의 골두와 관절한다.
팔꿈치는 굴곡과 신전만 가능한 일축 경첩관절(uniaxial hinge)이다.
(그림 10-2).
0도 신전 위치에서 측정한 굴곡도는 대략 145도이다(Lemkul, p 403).
그림. 10-2)주관절의 굴곡과 신전
팔꿈치에는 어깨 관절과 같은 능동적인
과신전(hyperextension)이 없다.
이 운동은 상완골의 주두(olecranon) 와(fossa)에 척골이 끼워지는
주두돌기에 의해 차단된다. 일부 사람은 몇 도 정도 과도하게
신전될 수 있지만, 이는 뼈 구조가 아닌 인대의 느슨함 때문이다.
요골과 척골 사이의 관절은 요척골관절(radioulnar joint)로 (그림 10-3).
그림. 10-3) 요척골관절: 요골과 척골 사이의 관절
양쪽 끝에서 서로 연결된다. 근위단(proximal end)에서,
요골의 골두는 척골의 요골오목(notch) 내에서 회전(pivot)하며,
상부 또는 근위부(proximal)요척골관절을 형성한다.
말단부에서는 척골의 골두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요골오목이 하부
또는 말단의 요척골관절을 형성한다.
이들은 하나의 관절로 간주된다(Brunnstrom, 1983, P 403).
요척골관절(radioulnar joint)은 일축 회전 관절로, 전완(forearm)의
회내(pronation)와 회외(supination)만 허용된다(그림 10-4).
그림. 10-4) 주관절의 회내와 회외
중립 또는 중간 위치에서 측정하면 대략 90도의 회외와 80도의 회내가 있다.
회내와 회외가 발생할 때, 요골은 척골 주위를 움직인다(그림 10-5).
그림. 10-5) 요골은 척골 주위를 움직인다
척골이 회전하지 않는다. 그것은 근위 끝의 뼈 모양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이것은 당신이 직접 확인하실 수 있다.
팔꿈치를 굴곡하고, 다른 손의 손가락을 주두돌기(olecranon process)의
양쪽에 놓고, 그리고 나서 당신의 팔뚝을 회내와 회외(pronate and supinate)
하고 누른다.
주두돌기는 움직이지 않는다. 척골의 몸통(shaft)에 손가락을 대면,
척골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근육의 움직임을 알아낼 때 이것을 기억하세요. 요골은 움직이고
척골은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전완을 회내와 회외 할 수 있도록
요골에 근육이 정지되어야 한다.
해부학적 자세에서 상완골과 전완골의 수직축은 운반각(carrying angle)
이라고 불리는 각도를 형성한다(그림 10-6). 이 각도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큰 경향이 있다.
그림. 10-6) 운반각
정상 운반 각도는 남성은 약 5도, 여성은 약 10~15도를 측정한다
(Hoppenfeld, 1976, p36). 이 각도는 상완골의 말단이 수평이
아니기 때문에 발생한다.
내측면(활차)은 외측면(상완골 소두)보다 낮다. 따라서 척골과
요골은 상완골의 소두와 활차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아래 부분(segment)의 장축이 윗 부분(segment)의 긴축과 일직선으로 있는
일반적인 경첩 관절(hinge joint)처럼 일직선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 운반각의 효과는 상완골의 긴축을 따라 선(line)을 그리고 전완골
아래로 신전하면 보여진다. 팔꿈치를 신전하는 동안 손이 가상 선(imaginary line)의
바깥쪽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팔꿈치가 굴곡되면,
손은 가상의 선의 안쪽으로 움직인다. 이 각도는 손을 입에 대는데 꽤 효과적이다.
뼈와 랜드마크(Bones and Landmarks)
견갑골의 뼈 랜드마크는 9장에서 다루었지만 팔꿈치 기능에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그림 10-7).
- 하관절 결절(조면, Infraglenoid tubercle)
삼두근의 장두의 기시를 제공하는 관절와(glenoid fossa)의
하순( inferior lip)의 융기된 부분
- 상관절결절(Supraglenoid tubercle)
이두근의 장두에 기시를 제공하는 관절와의 상순의 융기된 부분
- 오구돌기(Coracoid process)
전면의 돌출부, 이두근 근육의 단두에 기시를 제공한다(8장에 설명됨)
그림10-7) 상완삼두근과 이두근의 기시부위.
견갑골의 극을 제거한 후면
상완골의 말단 끝은 팔꿈치 작용의 중요한 뼈의 랜마크를 제공한다.(그림 10.8)
- 활차(도르레, Trochlea)
말단의 끝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척골과 관절을 이룬다.
그림) 10-8. 오른 상완골
- 상완골 소두(Capitulum)
활차의 바로 외측; 상완골두와 관절을 이룬다.
- 내측상과(Medial epicondyle)
활차 위의 말단끝 내측에 위치하며, 외측상과 보다 크고 두드러진다.
원회내근(pronator teres)의 기시부위이다.
- 외측상과(Lateral epicondyle)
말단 끝부분의 소두 위 외측면에 위치하며, 주근 및 회외근(anconeus and supinator m.)의
기시부위이다.
- 외측과능선(Lateral supracondylar ridge)
외측 외측상과 위에 위치하며; 상완요골근의 정지부위이다.
- 주두와(Olecranon fossa)
내측과 외측 상과 사이의 뒷면에 위치하며, 척골과 주두돌기와 연결된다.
척골은 요골과 나란히 놓여 있는 전완의 안쪽 뼈이다. 팔꿈치 기능에
중요한 뼈 랜드마크는 다음과 같다(그림 10-9).
그림 10.9) 오른 척골의 외측면
- 주두돌기(Olecranon process)
척골의 근위 단, 후면에 위치하며, 팔꿈치의 두드러진 지점을 형성하고
삼두근 근육에 기시부위를 제공한다.
- 활차 오목(절흔)(Trochlear notch)
반척골 오목이라고도 하며, 상완골의 활차와 연결되며,
근위단에서 전면 표면을 구성한다.
-오구돌기(Coronoid process)
척골결절(조면) 바로 아래에 위치하며, 척골결절과 함께 상완근(brachialis)에
기시부위를 제공한다.
- 요골오목(Radial notch)
외측면의 근위 단에 위치하며, 활차 바로 원위쪽에 위치하며,
요골의 골두와 관절로 연결된다.
- 척골결절(Ulnar tuberosity)
오구돌기 아래에 위치하며, 상완근(brachialis) 에 정지부위를 제공한다.
- 경상돌기(Styloid process)
후면의 내측의 원위단에
- 골두, 머리(Head)
외측면의 원위단에서; 요골의 척골 오목이 회내와 회외 중에
그 주위를 회전(pivot)한다.
척골의 외측면에 위치한 요골은 팔꿈치 기능에 중요한 뼈의 랜드마크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그림 10-10).
- 골두, 머리(head)
근위단; 상부 표면에 움푹 패인( depresssion) 원통 형상으로 상완골의 소두와 연결된다.
- 요골결절(Radial tuberosity)
근위 단 부근의 내측에 위치하며, 이두근에 정지부위를 제공한다.
- 경상돌기(Styloid process)
요골의 원위단의 후외측면에 위치하며, 상완요골근(brachioradialis)에 정지부위를 제공한다.
인대 및 기타 구조(Ligaments and Other Structures)
팔꿈치의 3개의 인대는 내측 및 외측 병립인대와 윤상 인대(annular ligament)이다.
(그림 10-11). 내외측 병립 인대는 삼각형 모양으로 팔꿈치의 내측을 가로지른다.
그림. 10-10) 오른 요골의 전면
상완골의 내측상과에 부착되며, 오구돌기및 척골의
내측면으로 비스듬히 내련간다.
외측 병립 인대 또한 삼각형 모양이다. 상완골의 외측상과의
근위에 부착되며, 원위로는 윤상 인대와 척골의 외측면 쪽에 부착된다.
이 두 인대는 팔꿈치에 내측 및 외측면에 상당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윤상인대는 척골의 요골오목에 앞뒤로 부착하여, 요골의 골두를 감싸고 척골에 고정시킨다.
활액낭은 상완골의 원위단 주위에 부착되어 있으며, 소두, 활차와
그리고 와(fossa)위에 위치하고 그들을 둘러싸고 있다.
활액낭은 요골오목및 오구돌기 아래에서 척골의 근위단 주변과
활차오목 주변에 부착된다.
골두 바로 아래에 요골 주위에 부착된다.
활액낭은 윤상 인대에 의해 전방과 후방으로 강화된다.
외측 병립인대는 관절 외측면의 활액낭을 보강한다.
그림. 10-11) 주관절의 활액낭과 인대(Elbow joint capsule and ligaments)
그림.) 10-12. 골간막The interosseous membrane.
윤상 인대 외에도, 요척골관절(radioulnar articulations)은
골간막(interosseous membrane)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그림. 10-12).
이 넓고 평평한 막은 대부분의 길이에서 요골과 척골 사이에 위치한다.
이 막은 두 개의 뼈가 분리되는 것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전완과 손목 근육의 부착을 위한 더 많은 표면적을 제공한다.
주관절의 일반적인 병리(Common Elbow Pathologies)
- 외측상과염(Lateral epicondylitis)은 상완골의 외측상과의 정지부위의 신전근들이
어떤 과사용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테니스엘보우(tennis elbow)라고도 한다.
특히 단요측수근신전근(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라켓스포츠와 손목(수근)신전근의 반복적인 행위에 의해 일어난다.
- 내측상과염(Medial epicondylitis)은 내측상과의 정지부의 굴곡근의
힘줄의 염증성으로
골프엘보우(golfer's elbow)라고도 부른다.
내측상과의 압통(tenderness)과 손목굴곡근의 사용에 의한 통증은
대개 과사용에 의해 일어난다.
- 리틀리그엘보우(Little league elbow)는 반복적으로 공을 던지는
행위에 의해 내측상과(medial epicondyle)에 일어나는 과사용(overuse)에 의한 부상이다.
이 부상은 성숙하지 않은 뼈를 가진 어린 야구 선수들에게 자주 보이는 증상이다.
던지는 동작은 팔꿈치에 외번 스트레스(valgus stress)를 주어
외측면 압박과 내측 벌어진 틈(distraction)을 유발한다.
- '팔꿈치 당김이나 간호사의 팔꿈치'(pulled elbow or nursemaid's elbow)는
5세 미만의 어린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데, 이는 갑자기 아이의 팔에
강한 당김력이 생기는 문제인데, 이는 성인이 아이의 팔을 갑자기
잡아당기거나, 아이가 어른의 팔에서 벗어날 때 자주 발생한다.
이로 인해 요골 골두가 윤상인대(annular ligament) 아래에서 아탈구(subluxing)된다.
- 팔꿈치 탈구(Elbow dislocation)는 약간 굴곡된 자세에서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척골이 상완골의 원위 끝부분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상완 동맥의 막힘 때문에, 드물지만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합병증인 볼크만의 허혈성 수축(Volkmann's ischemic contracture)이 발생할 수 있다.
- 상과 골절(Supracondylar fractures)은 어린이들에게 가장
흔한 골절 중 하나이며 넘어질 때 뻗은 손에 의해 발생한다.
상완골 골절의 원위 끝부분이 과(condyles)바로 위에 있다.
이 골절의 가장 큰 위험은 상완동맥의 잠재적인 손상이며,
이는 볼크만의 허혈성 골절로 이어질 수 있다.
볼크만 허혈성 수축(Volkmann's ischemic contracture)은
상완동맥의 외상으로 인한 전완근의 허혈성 괴사의 결과이다.
교육 & 관리 문의: 남태열 01038616051
#리틀리그엘보우#TEC#터칭이모션#딥티슈마사지 #재활스트레칭 #마사지교육 #근육학교육#팔꿈치#주관절#외측내측상과염#테니스골프엘보우
'근육학 교육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2장 손(Hand) part 1(번역본) (0) | 2022.07.24 |
---|---|
제 10장 주관절 part2 (0) | 2022.07.06 |
제9장 clinical kinesiology & anatomy 어깨관절 part 2 (0) | 2022.06.15 |
제 9장 clinical Kinesiology & Anatomy 어깨관절 part 1 (0) | 2022.06.10 |
흉골근 Sternalis M. (0) | 202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