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 교육

제 9장 clinical Kinesiology & Anatomy 어깨관절 part 1

107에서 111페이지 번역올립니다.

어깨(견) 관절( Shoulder Joint)

어깨(견)관절은 3개의 평면과 3개의 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구상(ball & socket.볼-소켓) 관절이다(그림 9-1).
견갑골의 견갑와(glenoid fossa)와 상완골의 머리(두)의 결합은

어깨 관절을 구성한다.
어깨 관절은 신체에서 가장 큰 움직임을 가진  관절 중 하나이며,

결과적으로 가장 안정적이지 않은 관절 중 하나이다.

관절 운동(Joint motions)

이러한 동작의 시작 위치는 어깨 외전 90도이다.
약 30도의 수평 외전(후진 운동)과 약 120도의 수평 내전이 있다.
회선,원회전(Circumduction)은 어깨에서 가능한 원의 궤적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것은 실제로 모든

어깨 동작에 있어, 여기에서는 회선이라는 용어는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그림 9-1) 어깨관절(The shoulder joint)

문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또 다른 용어는 특히 어깨부상에

대한 치료 운동과 관련한 스캡션(scaption)이다.
이 동작은 굴곡이나 외전과 유사하지만, 시상면이나 관상면과는

반대로 견갑골면에서 발생한다. 견갑골면은 관상면으로부터

약 30도 전방이고 굴곡과 외전 사이의
중간은 아니다.
어깨의 스캡션은 180도 동작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일반적인 기능 활동은 스캡션의 위치에서 발생한다.

뼈와 랜드마크

견갑골과 그 랜드마크들 중 많은 것들이 어깨대 에서 기술되었다.

다음은 어깨 관절에 대해  알아야 할 견갑골의 랜드마크이다(그림 9-3).

- 관절와(glenoid fossa)
상단, 외측면의 얕은 달걀 모양의 소켓; 상완골과 연결됨

- 관절순(Glenoid labrum)
관절강을 깊게 하는 관절와(glenoid fossa)의 테두리를 둘러싼  섬유연골 고리

- 견갑하와(Subscapular fossa)
전방(가슴) 표면의 대부분의 영역을 포함하며, 견갑하근에 기시면을 제공한다.

그림 9-2) 어깨 관절 동작.

- 극하와(Infraspinous fossa)
견갑극 아래, 극하근의 기시면을 제공한다.

- 극상와 (Supraspinous fossa)
견갑극 위, 극상근의 기시면을 제공한다.

그림 9-3) 왼쪽 견갑골.

- 액와연(Axillary border)
소원근과 대원근의 기시면을 제공한다.

- 견봉돌기(Acromion process)
상부 외측면의 넓고, 편평한것으로 중부삼삼각근의 기시면을 제공한다.

상완골은 상지의 가장 길고 가장 큰 뼈이다(그림 9-4).

견갑골이 있는 상완골의 위치는 그림 9-1의 정면도에 나와 있다.

그림 9.4) 왼 상완골대

주요 랜드마크는 다음과 같다.

- 머리,골두(Head)
반원형의 근위단; 견갑골과 관절로 형성된다.

- 외과경,목(Surgical neck)
머리가 신체와 만나는 결절 바로 아래의 약간 조여진 부위

- 해부경(Anatomical neck)
머리와 결절 사이를 분리하는 원주형 홈

- 골대(Shaft)
또는 몸통(body). 외과경의 근위와 외과의 말단사이의 부위.

- 대결절(greater tubercle)
소결절과 골두의 외측에 크게 돌출된 부위, 극상근,극하근,소원근의 정지면을 제공한다.

- 소결절(lesser tubercle)
대결절 내측의 전면에 있는 작은 결절로 견갑하근의 정지면을 제공한다.

- 삼각근 조면(deltoid tubrosity)
상완골의 중간의 외측면으로, 정확하게 랜드마크를 규정짖지 못한다.

- 이두근구(Bicipital groove)
이두근의 장두의 힘줄을 포함하는 결절 사이의 세로 홈인 "결절간 홈"이라고도 한다.

- 이두근 능(Bicipital ridges)
이두근 능은 외측순(lip) 내측순이라고 부른다.또는 각각  대결절과

소결절의 능(crest)라고도 한다.
외측순(대결절의 능)은 대흉근의 정지면을,  내측순(소결절의 능)은

광배근과 대원근의 정지면을 제공한다.

인대 및 기타 구조(Ligaments and Other Structures)

관절활액낭(캡슐)은 얇은 벽의 넓은 용기로,
상완골의 해부경과 견갑골의 관절와의 테두리 주위에 정지면을 가진다.

(그림 9-5 및 9-6)

그림 9-5) 어깨 관절활액낭과 그것을 보강하는 인대.

활액낭은 외부 섬유막(outer fibrous membrane) 내부 활막(inner synovial membrane)에

의해 형성된다.
팔을 옆으로 늘어뜨린 상태에서 활액낭의 윗부분은 팽팽하고

아랫부분은 느슨하다.
어깨가 외전되면 반대로 아랫부분이 팽팽해지고

윗부분이 느슨해진다.
상부, 중부 및 하부 상완견갑 인대는 활액낭의 전면을 강화한다.

상견갑인대는 잘 형성된 인대가 아니라 실제로 활액낭의 주름이다.
상완오구인대는 오구돌기의 외측면에서 기시되어 대결절의

안쪽 전방으로 관절에 걸쳐 있다(그림 9-5 및 9-6 참조).

관절 활액낭의 상부를 강화시켜 준다.

관절순(glenoid labrum)은 관절와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섬유 고리이다

(그림 9-3 및 9-7 참조).
그 기능은 관절강을 깊게 하는 것이다.
어깨 관절 부위에 여러 개의 점액낭(busar)있다. 삼각근하 점액낭은

크고 삼각근과 관절 활액낭 사이에 위치한다.
견봉하 점액낭은 견봉오구 인대와 견봉 아래,  관절낭 사이에 위치하며,

종종 삼각근점액낭과 인대는 종종 접촉된다.

회전근개(Rotator cupp)는 견갑하근,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의

힘줄이 같은 정지면으로 형성된 힘줄이다.
이 근육들은 관절 운동 동안 상완골두의 관절와 에 대해 "회전"하도록 돕는다.

이 회전 운동은 회전근개라는 용어를 단지 이용한것이지,

내측 또는 외측 회전 작용의 근육이 아니다.

그림 9-6) 왼쪽 어깨 관절 활액낭과 상완오구 인대.

후면은 근육이 제거되었다.

흉요근막(thoracolumbar fascia, 요건막(lumbar aponeurosis)은

흉추 하부와 요추의 극돌기, 상부극돌기 인대, 장골능 뒷부분, 

천골극근(sacrospinalis)을 덮고, 광배근의 넓은 기시면을 제공하는

표면 섬유질 시트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어깨 관절은 많은 움직임을 허용해

이것으로 인해  다소 불안정한 관절로 만든다.

상당히 얕은 관절와는 관절숫에 의해 더 깊게 만들어진다.

와(fossa)는 앞쪽, 옆쪽, 위쪽 방향으로 위치한다.
이 위쪽 방향은 관절에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관절은 상완오구 인대와 상완견갑 인대로 보강된

관절낭에 의해 온전하게 유지된다.

그 낭이 관절을 완전히 감싸기 때문에,  부분적인

\진공 상태를 만들어 내고, 이것은 골두가 와에서

탈구되지 않게  돕는다.
회전근개근은 관절 운동 중에 관절 표면을 함께 고정한다.

관절이 탈구되거나 부분적으로 탈구되는 것을 막는 것은

대부분 어깨 근육이다. 뇌졸중을 일으켜 사지 기능을

상실한 사람은 어깨가 아탈구(subluxed)되는 경우가 많다.

상완골이 들어갈 수 있는 깊은 소켓(관절와)의 부족,

근육의 톤의 손실, 사지의 무게, 그리고 중력은

모두 관절의 아탈구(subluxation)를 일으킨다.

그림 9-7) 관절순, 외측면

일반적 어깨 병리학(Common Shoulder Pathologies)

견봉쇄골 분리(Acromioclavicular separation)는 견봉쇄골 관절의

다양한 인대 손상 정도를 설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1도 염좌에서는 견봉쇄골 인대가 늘어났다.
2도 염좌는 견봉쇄골인대가 파열되고 쇄골오구인대가 늘어난다.
3도 염좌에서는 견봉쇄골인대와 쇄골오구인대가 모두 파열된다.

쇄골 골절(Clavicular fractures)은 어린이에게서 가장 자주 골절되는 원인으로
대개 넘을 질 때 뻗은 손을 과하게 뻘쳐지면서 어깨의 외측면의 충격으로 발생한다.
쇄골은 보통 중간 부분이 부러진다.
뻗은 손이 넘어질 때 그 충격으로 인한 또 다른 골절은 상완골경의 골절(humeral neck fracture)이다.
노인들에게 흔하며 대개 충격성 골절이다.

중상완골 골절(Midhumeral fractures)은 종종 직접적인 타격이나 비틀림 힘에 의해 발생한다.
이 부위의 나선형 골절(Spiral fractures)은 신경이 뼈 옆을 지날 때

요골신경(radial nerve)부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상완골의 병리학적 골절은 양성 종양이나 폐, 유방, 신장, 전립선과 같은

일차 부위의 전이성 암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가장 흔한 관절 탈구(didlocation) 중 하나는 어깨를 포함하며,

대부분의 관절 탈구는 어깨의 앞쪽 탈구이다.
어깨의 강제적인 외전 및 외측회전은 상완골의 골두가

관절와(glenoid fossa)에서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탈구 운동인 경향이 있다.
상완견갑 아탈구(Glenohumeral subluxation)는 반신불수증(hemiplegia)을

가진 사람에게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보통 심혈관계 사고(뇌졸중)로 인한 것이다.
어깨 근육의 마비는 상완골의 골두를 관절와에 고정시킬 수 없게 만든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력의 당김과 팔의 무게와 결합된 이 마비는 이 부분적인 탈구(dislocation)를 야기한다.

충돌증후군(Impingement syndrome)은 회전근개근, 상완이두근의 장두,

견봉하활액낭 등 연부조직 구조의 견방호(arch), 상완골두와  견봉오구 인대 사이의 압박이 수반되는 과사용에 의해 일어나는 질환이다.

수영 선수의 어깨(swimmer's shoulder)로 알려진 충돌의 종류는 자유형,

접영, 배영을 전문으로 하는 수영선수들에게 흔하다.

유착성 활액낭염(Adhesive capsulitis)은 어깨관절낭의 염증과 섬유화가

어깨 운동범위 상실로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또한 얼은 어깨(frozen shoulder)라고도 알려져 있다.

찢어진 회전근개(Rotator cuff)는 상완골의 대/소결절 부위에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의 원위부 힘줄 정지면을 포함한다.
찢어짐은 급성 외상이나 점진적인 퇴화의 결과일 수 있다.

무증상 만성 염증인 극상근 힘줄은 미네랄 퇴적물의 축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석회화성 힘줄염(calcific tendonitis)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무증상적이거나 상당히 고통스러울 수 있다.

이두근건염(Bicipital tendonitis)은 보통 상완골 골두를 가로질러

방향을 바꾸고 상완이두근의 장두를 수반하고 상완이두근구까지 내려간다.

이 힘줄은 일반적으로 반복 및/또는 반강제적으로 팔을 머리 위의 위치에서 파열된다.
상완이두근 구에서 미끄러질 때 자극이 생기면 이두근의 장두 힘줄이 아탈구가 될수 있다. 외전되고 외측 회전된 위치에서 근육을 과부하시키는 것은 힘줄을 상완이두근구 밖으로 밀어내는 힘이 되는 경향이 있다.

교육 & 관리 문의: 남태열 01038616051

#TECACADEMY#스캡션 #근육학교육 #마사지교육
#딥티슈마사지#어깨관절부상
#재활스트레칭 #재활관리#호주라이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