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페이지에서 119페이지까지 번역해 올립니다.
Part 2.어깨관절의 근육(Muscles of the Shoulder Joint)
어깨관절을 가로 지르는 근육은 다음과 같다.
1. 삼각근(Deltoid)
2. 극상근(Supraspinatus)
3. 대흉근(Pectoralis major)
4. 광배근(Latissimus dorsi)
5. 대원근(Teres major)
6. 극하근(Infraspinatus)
7. 소원근(Teres minor)
8. 견갑하근(Subscapularis)
9. 오구완근(Coracobrachialis)
10.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
11. 상완삼두근 장두(Triceps brachii, long head)
삼각근(Deltoid)은 어깨관절의 3면으로 덮고 있는 천층 근육으로,
어깨에 특유의 둥근 모양을 만든다.
"deltoid"라는 이름은 근육의 모양인 삼각형에서
이름지어졌다.(그림 9-8).
그림 9-8) 삼각근의 세 부분.
기능적으로 이 근육은
전(anterior), middle, and posterior,
중(middle) 후(posterior)의 세 부분으로 분리된다.
전삼각근은 쇄골의 바깥쪽 3분의 1에 기시하여 상완골의
중간점 부근에 위치한 삼각근조면(deltoid tuberosity)까지 내려간다.
비스듬한 각도로 앞쪽 표면의 관절을 덮는다.
따라서 외전, 굴곡, 내회전(medial rotation)등에 효과적이다.
팔이 어깨 높이에 있을 때 당김선(line of pull)은
대부분 수평이므로 효과적인 수평내전근이 된다.
중삼각근(middle deltoid)은 견봉돌기의 외측면에 기시되어
삼각근조면(deltoid tuberosity)까지 직접 내려간다.
수직 당김선이 관절 축에 대해 외측면이기 때문에 어깨관절을
외전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다.
후삼각근(posterior deltoid)은 견갑골의 극에서 기시하여
삼각근조면의 앞부분과 중간 부분의 섬유와 함께 비스듬히
아래로 이어진다. 사선의 당김선은 관절 축 뒤쪽에 있기
때문에 어깨 외전, 신적, 과신전, 외회전에 강하다.
팔이 어깨 높이일 때 당김선이 대부분 수평으로 돼 있어
수평 외전에도 효과적이다.
어깨 외전 시 어깨대(shouldr girdle)와 삼각근,
특히 중부 삼각근의 작용을 설명하는
"인치웜 효과(inchworm effect)"라고 불리는 개념이 있다.
만약 상완골만 외전 중에 움직인다면, 중부 삼각근은 90도에
가까워지면서 수축력이 빠르게 바닥날 것이다.
그러나 중부 삼각근은 전체 범위에 걸쳐 효과적이다.
어깨 관절이 2도마다 어깨대는 위쪽으로 1도 회전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상완골 리듬; 8장 참조).
견갑골의 이러한 상방회전 (upward rotation) 따라
삼각근(견봉돌기, 쇄골의 외측면 끝, 견갑골 극)의 기시(origin)는
상완골의 정지부위(insertion)으로부터 멀어져간다.
이것은 근육을 길게 하여 수축 잠재력을 회복시키고,
전체 관절 운동범위 내에서 효과적으로 수축할 수 있게 한다.
전삼각근(Anterior Deltoid Muscle)
-기시 O.(origin): 쇄골 외측 1/3(Lateral third of the clavicle)
-정지 I.(insertion): 삼각근 조면(Deltoid tuberosity)
-작용 A.(action): 어깨의 외전(Shoulder abduction), 굴곡(flexion),
내회전(medial rotation), 수평내전(horizontal adduction)
-신경 N.(nerve): 액와신경(Axillary nerve C5, C6)
중삼각근(Middle Deltoid Muscle)
-기시 O.(origin):견봉돌기(Acromion process)
-정지 I.(insertion): 삼각근 조면(Deltoid tuberosity. same
as anterior deltoid muscle)
-작용 A.(action): 어깨 외전(Shoulder abduction)
-신경 N.(nerve): 액와신경(Axillary nerve C5, C6)
후삼각근(Posterior Deltoid Muscle)
-기시 O.(origin): 견갑 극(Spine of scapula)
-정지 I.(insertion): 삼각근 조면(Deltoid tuberosity,same
as anterior deltoid muscle)
- 작용 A.(action): 어깨 외전(Shoulder abduction), 신전(extension),
과신전 (hyperextension), 외회전(lateral rotation),
수평외전(horizontal abduction)
- 신경 N.(nerve): 액와신경(Axillary nerve. C5, C6)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극상근(supraspinatus)(그림 9-9)은
견갑골의 극(spine) 위에 있다. 상완대결절에 정지하기
위해 견봉돌기 아래를 통과한다.
극상와(supraspous fossa)에 위치한 부분은 승모근의
심층이고, 외측으로는 삼각근이 있다.
그림 9-9) 극상근(supraspinatus)
초기 운동학(kinesiology)연구는 극상근이 어깨 외전에 대해서만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근전도(electromyography) 연구는 이후
외전 기간 내내 극상근이 활동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극상근은 관절 운동 기능 외에도 상완골의 골두가
관절와(glenoid fossa)에서 탈구되지 않게 안정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것을 보여준다.
극상근(Supraspinatus)
-기시 O.(origin): 견갑골 극상와 (Supraspinous fossa of the scapula)
-정지 I.(insertion): 상완대결절(Greater tubercle of the humerus)
- 작용 A.(action): 어깨외전(Shoulder abduction)
- 신경 N.(nerve):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 C5, C6)
대흉근(pectoralis major)(그림 9-10)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가슴의 큰 근육이다.(가슴,pectus means "breast" or "chest").
삼각근 아래에 있는 말단부 부착물을 제외하고는 천층(표면적)이다.
이 근육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전면의 관절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어깨관절의 내전(adduction 및 내회전(medial rotation)에 효과적이다.
이 근육은 근위부 부착과 다른 당김선(line of pull)때문에 종종
쇄골(clavicular)과 흉골 부분 (sternal portion)으로 분리된다.
쇄골 부분(clavicular portion)은 쇄골의 내측 3분의 1에 기시된다.
쇄골 부분은 어깨를 신전 할 때 더 수직적인 당김선이 있어
첫 번째 어깨가 90도(어깨 높이)에 가까워질 때 어깨를 굴곡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당김선이 더 이상 수직이 아니라 수평이 된다.
그림 9-10) 대흉근의 두 부분은 주요 근육이다.
대흉근(pectoralis major)의 이 부분은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다.
범위의 초기(0-30도)에서 가장 효과적이며 범위의 중간점(90도)으로
갈수록 더 효과적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나서 가슴의 쇄골 부분이
어깨 굴곡의 처음 60도에서 주요한 원동력 역할을 한다고
말해도 무방하다.
흉골 부분은 흉골과 제 1~ 6개의 갈비뼈의 늑연골에 기시된다.
어깨가 완전히 구부러질 때 당김선이 더 수직이고 어깨가 90도에
가까워질수록 효과가 떨어진다.
쇄골 부분의 반대 방향과 비슷하지만, 흉골 부분은 범위의
초기 부분(150-180도)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관절 운동 범위의 중간점(90도)으로 갈수록 더 비효율적이 된다.
따라서, 대흉근의 흉골 부분은 어깨 신전의 첫 60도에서
주동근 역할을 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어깨 신전은 완전한 굴곡의 위치(180도)에서 시작하여
해부학적 자세(0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어깨 신전의 처음 60도는 180도에서 120도로 될 것이다.
대흉근의 양쪽 부분은 시상면(sagittal)에서 관절 운동의
첫 번째 부분(굴곡을 위한 쇄골 부분, 신전을 위한 흉골 부분)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들은 굴곡과 신전에서는
서로 길항적(antagonistic)이지만 어깨 내전, 내회전,
수평내전에서는 주동근(agonists)으로 작용한다.
대흉근, 쇄골 부분(Pectoralis Major; Clavicular Portion)
-기시 O.(origin): 쇄골의 3분의 1Medial third of clavicle)
- 정지 I.(insertion): 상완이두근 구 외측면옆 ((Sternum), groove of humerus)
- 작용 A.(action): 어깨 굴곡-처음 60도 까지
대흉근, 흉골부분(Pectoralis Major Sternal Portion)
- 기시 O.(origin): 흉골(Sternum),제1~6늑연골 (costal cartilage of first six ribs)
- 정지 I.(insertion):상완골의 이두근구의 외측면( 쇄골 부분과 동일)
- 작용 A(action): 어깨 신전-처음 60도(180도에서 120도까지)
대흉근, 쇄골 및 흉골 부분
- 작용 A(action): 어깨 내전, 내회전, 수평 내전
- 신경N.(nerve): 외측 및 내측흉신경(C5, C6, C7, C8, T1)
광배근(latissimus dorsi m.)은 (그림 9-11)은 이름 그대로(라틴어로 'latissimus'는
아주넓은,"widest,"이고, dorsi는 등 "back" or "posterior"이다) 등에
위치한 넓고 얇은 모양의 근육이다.
하부승모근에 의해 뒤쪽은 덮여 있고, 상완골의 근위부(proximal),
앞, 내측 표면에 정지하기 위해 겨드랑이를 통과할 때
원위(disital)방향에 덮여 있는 작은 부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천층근육(superficial layer m.)이다.
장골(ilium)과 천골(sacrum)에 기시(origin)되어 있어 팔이
안정되면 골반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이 동작은 팔이 목발 손잡이에 고정되어 있을 때 목발로
걷는 동안 발생한다. 이러한 폐쇄 연쇄 활동(closed-chain activity)은
기시(origin) 근육이 기시부로 끌어당기는 일반적인 정지(insertion)
근육이 아닌 정지부 근육 쪽으로 끌어당기는
"근육 기능의 역전"의 좋은 예이다.
광배근은 어깨관절의 하부와 내측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어깨 신전, 과신전, 내전 및 내 회전의 주동근이다.
광배근(Latissimus Dorsi M.)
-기시 O.(origin): 흉추(T)7 ~ 요추(L)5(등 근막을 통해)의 극돌기,
천골, 장골 및 능의 후면, 하부 3개의 늑골
- 정지 I.(insertion): 상완이두근구 내측순연
- 작용 A.(action): 어깨 신전, 내전, 내회전, 과신전
- 신경 N.(nerve) 흉곽배신경(C6, C7, C8)
그림 9-11) 광배근. 상완골 정지부에 점선으로 표시된
전면 표면에 있다.
대원근(teres major)은 견갑골 액와연(axillary border)의
소원근 아래에서 기시한다.(그림 9-12)
원(Teres)은 라틴어로 길고 둥근(long and round)으로 천층의 근육이다.
대원근은 광배근과 나란히 액와쪽으로 진행하여 상완골의
근위 끝의 전내측에 같이 정지된다. 대원근은 크기와 작아
과신전을 제외하고 광배근의 작용과 같아 광배근의
작은 협력(little helper)로 불린다.
그림 9-12) 대원근(teres major m.)
상완골의 전부 표면의 정지부위는 점선으로 나타낸다.
대원근의 주동근은 신전, 내전, 내측회전이지만,
크기가 광배근보다 작아 더 효율적인 근육이다.
대원근(Teres Major M.)
-기시 O.(origin): 견갑골 하각의 액와연
(Axillary border of scapula near the inferior angle)
- 정지 I.(insertion): 소결절 능의 아래, 광배근의 옆
(Crest below lesser tubercle next to the latissimus dorsi muscle attachment)
- 작용 A.(action): 어깨 신전, 내전, 내측회전
(Shoulder extension, adduction, and medial rotation)
- 신경 N.(nerve): 견갑하신경(Subscapular nerve. C5, C6)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극하근(infraspinatus)은 견갑골의 극 아래에
있는 천층근육이다.(그림. 9-13) 그러나 승모근과 삼각근이
부분적으로 숨겨져 있다.
극하근의 말단 정지부위는 상완골 대결절의 상부에 있는
극상근의 하부에 정지한다.
약간의 학자들은 극하근의 당김선이 수평이기 때문에
어깨의 신전의 능력도 있다고 한다.
따라서 신전은 기껏해야 보조적이다.
그림 9-13) 극하근과 소원근
극하근(Infraspinatus M.)
-기시 O.(origin): 견갑골 극하와(Infraspinous fossa of scapula)
- 정지 I.( insertion): 견갑골 상완골 대결절(Greater tubercle of humerus)
- 작용 A.(action): 어깨의 외회전, 수평내전 (Shoulder lateral rotation, horizontal abduction)
- 신경 N.(nerve):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 C5, C6)
소원근(teres minor)은 극하근과 관련이 깊은데, 두 근육 다
해부적 위치와 작용이 같다.(그림 9-13 참조)
두 근육은 삼각근과 승모근에 의해 부분이 덮어 있지만
대부분은 천층근육이다.
대원근과 소원근은 견갑골의 액와연(axillary border)에서
둘 다 기시하여 사선으로 가 상완골의 외측면에 정지한다.
소원근은 상완골대결절 후면에 정지하지만,
대원근은 액와를 지나 상완골 소결절 아래 전면에 정지한다.
상완삼두근의 장두는 액와에서 소원근과 대원근의 중간을 지나
이 두근육들을 서로 분리시킨다.(그림 9.14)
대원근(Teres Minor M.)
- 기시 O.(origin): 견갑골 액와연(Axillary border of scapula)
- 정지 I.( insertion): 상완골 대결절(Greater tubercle of humerus)
- 작용 A.(action): 어깨의 외회전(Shoulder lateral rotation), 수평내전(horizontal abduction)
- 신경 N. (nerve): 액와신경(Axillary nerve .C5, C6)
그림 9-14) 상완삼두근은 장두는 액와를 기준으로
대원근과 소원근으로 나눈다.
상완골 대결절 위에 있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들의 원위부
정지부위를 관찰하면, 세 근육들이 본질적으로 일렬로 서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그림 9-15). 이러한 이유로, 첫 영문글자를
따 SIT 근육이라고 불리며, 이 세 가지 근육들과 견갑하근(subscapularis)은 회전근개(rotator cuff), 또는 SITS 근육이라고 부른다.
그림 9-15) 상완골의 근위 끝부분의 상부면은 회전근개
근육의 정지부위를 부여준다.
그림 9-16). 견갑하근(subscapularis m.)
견갑하근(subscapularis m.)은 약간은 오해를 사는 근육이름으로
위치(location)에 의해 만들어진 근육이다. (그림 9.16)
Sub는 아래(under)의 라틴어이다.
견갑하근은 견갑골 깊은 아래에 위치하고, 늑골 옆에 있다.
아래의 실제적으로는 견갑골의 표면, 늑골, 앞쪽을 의미한다.
견갑하근의 앞쪽 표면의 기시부위로 부터 외측으로 가로질러
어깨관절의 앞쪽으로 지나 상완골 소전자(lesser tubercle)에 정지된다.
이 말단 정지부위는 다른 회전근개 근육과 함께 상완골 골두를
덮고 골두를 관절와에 고정하기 위해 일반적인
힘줄(tendinous sheath)초(피복)과 혼합된다.
견갑하근은 당김선이 수평선이고, 상완골의 앞쪽에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어깨의 내회전에 있어 주동근이 된다.
견갑하근(Subscapularis M.)
- 기시 O.(origin): 견갑골의 견갑하와(subscapular fossa of the scapular)
- 정지 I.( insertion): 상완골 소전자(lesser tubercle of the humerus)
- 작용 A.(action): 어깨 내회전(shoulder medial rotation)
- 신경 N. (nerve): 견갑하신경(subscapular n.C5, C6)
오구완근(coracobrachialis m.)(그림 9-17)은 견갑골의 오구돌기(coracoid process)와
상완골 또는 팔(라틴어로 "brachium")에 정지되어 있는 것에서 유래한다.
관절 축에 꽤 가까운 거의 수직의 당김선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힘은 관절로 돌아가게 되고, 골두는
관절와에 대해 안정성을 유지한다. 일부 저자들은
어깨를 굴곡하고 내전하는 이 근육의 능력을 언급한다.
하지만, 수직당김선이 관절축에 가깝기 때문에 도움근이 된다ᆞ
그림 9-17) 오구완근(corecobrachialis)
오구완근(Coracobrachialis M.)
- 기시 O.(origin): 견갑골의 오구돌기(Coracoid process of the scapula)
- 정지 I.( insertion): 상완골의 내측표면 의 중간
가까이(Medial surface of the humerus near
the midpoint)
- 작용 A.(action): 어깨관절 고정, 주관절 굴곡
(Stabilizes the shoulder joint )
- 신경 N. (nerve): 근피신경 (Musculocutaneous nerve. C6, C7)
상완이두근과 상완삼두근은 어깨와 팔꿈치를 가로지르는
두 개의 관절 운동하는 근육이다.
어깨 관절에서의 작용은 기껏해야 보조적이다. 주요 기능은
팔꿈치에 있기 때문에 10장에서 논의될 것이다.
상완관절와 운동(Glenohumeral Movement)
관절와(견갑골와)와 상완골 골두의 이동은 추가적인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상완골의 골두는 관절와보다 관절 표면이 더 넓다는 점에 주목한다(그림 9-18).
만약 상완골 골두가 단순히 관절와에서 회전한다면,
많은 외전이 일어나기 전에 관절 표면에서 떨어질 것이다.
또한 삼각근의 수직 당김은 골두를 견봉돌기로 끌어올릴 것이다(그림 9-18).
그림 9-18). 삼각근과 어깨관절의 관절표면.
삼각근이 혼자서만 작용한다면, 골두가 위로 당겨서
올라가 아래의 견봉오구호(coracoacromial arch)와 충돌한다.
상완골 골두가 관절와에서 관절운동하는 것을 유지하는 것은
활공, 스핀, 롤의 관절 운동이다(이 용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4장 참조)
외전이 일어나면 상완골골두가 관절와를 가로질러 굴러간다.
동시에 골두는 낮게 미끄러져 상완골 골두가 관절와 관절로 연결된다.
이는 회전근개 근육에 의해 완성된다(그림 9-19).
극상근은 어깨관절을 외전하는 것 외에도 상완골 골두를
관절와 안으로 끌어당긴다.
그림 9-19). 어깨 외전 중 관절와에서 상완골 골두를 회전시키는
삼각근과 회전근개(SITS)의 쌍힘(Force couple)
회전근개 근육들(The other rotator cuff muscles)
(견갑하근(subscapularis), 극하근 (infraspinatus), and 소원근(teres minor)들은
관절와에 저항하여 골두를 아래쪽에서 안으로 당긴다.
관절와순( glenoid labrum)은 관절와를 약간 더 깊게 하는 역할을 하며,
관절 표면을 더 맞게 맞춘다.
어깨 외전의 또 다른 특징은 어깨 관절이 외측면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완전한 움직임 범위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동작을 해보세요. 팔을 옆으로 한 상태에서 시작하여(어깨내전)
내회전하고 어깨를 내전하고, 엄지손가락을 아래로 향하게 한다.
이를 "빈 캔(empty can)" 자세라고 한다.
이 동작을 할때 마다 얼마나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다음으로, 어깨가 내회전과 외 회전 사이의 중립 위치(기본 자세)에서
동작을 반복하고 엄지손가락이 앞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 동작을 할때 마다 얼마나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어깨를 외측 회전시킨 상태에서 히치하이킹(hitchhiking)
자세에서 엄지손가락을 위로 향하게 하면서 동작을 반복한다.
이를 "가득찬 캔(full can)" 자세라고 한다.
이 외측 회전하는 자세는 가장 편안한 어깨 운동을 할 수 있는 자세이다. 왜냐하면 상완대결절이 견봉돌기 아래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완전한 외전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내회전 또는 중립 위치에 있는 상완대결절은 견봉돌기 머리 위에서 움직인다.
근육 작용을 요약(Summary of Muscle Action):
Action muscles
-굴곡(Flexion), 전삼각근, 대흉근쇄골지
-신전(Extension), 후삼각근, 광배근, 대원근
대흉근흉골지
-과신전(Hyperextension), 광배근, 후삼각근,
-외전(Abduction), 삼각근, 극상근
-내전(Adduction), 대흉근, 대원근, 광배근
-수평외전(Horizontal abduction), 후삼각근,
극하근, 소원근
-수평내전(Horizontal adduction), 대흉근,
전삼각근
-외회전(Lateral rotation), 극하근, 소원근,
후삼각근
-내회전(Medial rotation), 광배근, 대원근,
견갑하근, 대흉근, 전삼각근
"대략 60도
대략 120도
근육 신경 지배의 요약(Summary of Muscle Innervation)
어깨 관절의 근육은 상완신경총의 높은 가지에 다양한 신경 지배를
받는다(6-19 참조). 표 9-1과 9-2는 어깨 근육의 신경 지배의 단편을 요약했다.
신경의 척수와 관련하여 다양한 출처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유의 할것이다.
표 9-1) 어깨관절 근육의 신경지배
표 9-2) 어깨관절의 신경분포
교육& 관리 문의: 남태열 01038616051
,.
'근육학 교육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0장 주관절 part2 (0) | 2022.07.06 |
---|---|
제 10장 주관절(Elbow joint) part 1 (0) | 2022.06.28 |
제 9장 clinical Kinesiology & Anatomy 어깨관절 part 1 (0) | 2022.06.10 |
흉골근 Sternalis M. (0) | 2022.05.28 |
CHAPTER 8 어깨대( Shoulder Girdle)의 복습& 시험 (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