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 교육

무릎관절의 생리학 무릎 관절의 생리학 대퇴골, 경골, 슬개골은 '관절낭(캡슐)'이라고 하는 관절의 주머니와 인대, 근육, 건(힘줄)으로 이어져 있다. 그림 1) 무릎관절: 전, 후방십자인대와 내외측병립인대 무릎관절 한가운데에는 무릎이 앞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십자인대'와 뒤로 어긋나는 경우를 방지하는 '후방십자인대'가 있고, 안쪽에는 안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병립인대', 바깥에는 바깥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외측병립인대'가 있다. 그림 2) 슬개골인대: 대퇴직근, 중간광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등의 대퇴사두근이 슬개골위에서 합쳐져 슬개골 인대가 되어 경골조면에 정지한다. 무릎관절을 신전한다. 무릎관절 한가운데에 있는 전, 후방십자인대에는 신경이 지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손상되더라도 바로 통증.. 더보기
건(tendon.힘줄)과 인대(ligament), 연골이 하는 일은? Libray 1. 5분 기본 공부 건(힘줄)과 인대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힘과 유연성을 주는, 교원질이라는 단백질로 만들어진 섬유로 이루어진다. 인대(ligament)는 뼈를 서로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손가락 양옆에 있는 인대는 손가락이 옆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손바닥에 퍼져있는 인대는 손가락이 뒤로 과다하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건(tendon)은 근육을 뼈에 고정시킨다. 근육이 수축하면 건이 당겨져(건은 뼈를 당긴다)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건은 관절을 움직이게 하는 동시에 관절에 안정성을 하기도 한다. 건과 인대의 섬유성 조직에는 혈류가 많이 공급되지 않아서 한번 부상 당하면 치료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치유가 매우 느리다. 그림) 무릎의 구조: 건, 인대와 연골 인대는 뼈를 .. 더보기
측두근의 해부학 측두근 (Temporalis m.) 측두근은 교근과 더불어 저작근이다. 또한 얼굴 표정근으로 이를 악물게 하는 원인근으로 작용한다. 편두통 및 긴장성 두통, 상악, 치통의 원인근, 일차적인 증상은 입을 벌리는데 제한, 통증유발점(Trp)이 빈번히 생기는 근육으로 상부 승모근에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 근육이다. 1. 원어읽기: temporalis(tem-por-AL-iss)= temple, 관자놀이, 시간의 흐름(tempo는 그리스어로 시간의 흐름 이라는 의미로, 나이가 들면 측두에 새치가 생겨 그 이후로 tempo를 측두골이라 부른다) 측두근(Temporalis)은 위쪽이 넓고 아래쪽 정지부는 좁아서, 부채 모양을 하고 있는 근육이다. 2. 측두근의 해부학 그림 1) 측두근은 측두와에서 기시하여 협골궁의 .. 더보기
제 12장 손(Hand) part 1(번역본) 손(Hand) part 1 손은 상지(upper extremity)의 말단이다. 손은 엄지손가락과 손가락 중족골과 상지골을 포함한다. 손은 상지의 핵심 기능이다. 우리는 매우 간단한 일에서부터 꽤 복잡한 일까지, 무궁무진한 수의 활동을 성취하기 위해 우리의 손을 사용한다. 상지의 다른 관절의 주요 목적은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에 손을 배치하는 것이다. 손은 매우 유용하고 다재다능할 뿐만 아니라 꽤 복잡하다. 이 장에서는 손의 보다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만을 다룰 것이다. 엄지손가락의 운동과 관절(Joints and Motions of the Thumb) 첫 번째 손가락인 엄지손가락에는 세 개의 관절이 있다: 수근중수골관절(CMC,carpometacarpal), 중수지골관절(MCP, met.. 더보기
제 10장 주관절 part2 팔꿈치와 전완의 근육(Muscles of the Elbow and Forearm) 팔꿈치와 전완의 근육은 다음과 같다.: 1. 상완근(Brachialis) 2. 상완이두근(Biceps) 3. 상완요골근(Brachioradialis) 4. 회외근(Supinator) 5. 상완삼두근(Triceps) 6. 주근(Anconeus) 7. 원회내근(Pronator teres ) 8. 회내방형근(Pronator quadratus) 1. 상완근(그림 10-13)은 그 위치(라틴어로 "팔"을 뜻함)에서 이름을 따왔다. 상완골의 앞쪽 중간에서 기시하여 팔꿈치 관절을 앞쪽으로 걸쳐 척골의 오구돌기와 척골결절(조면)에 정지한다. 이두근의 깊숙한 곳에 있다. 상완근은 요골에 정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회내나 회옥에 아무런 역할.. 더보기
제 10장 주관절(Elbow joint) part 1 관절 구조 및 운동(Joint Structure and Motions) 팔꿈치(주관절) 복합체는 세 개의 뼈, 세 개의 인대, 두 개의 관절, 그리고 하나 캡슐(활액낭,capsule)로 이루어져 있다. 척골 및 요골(ulna and radius)과 상완골(humerus)을 이루는 관절은 일반적으로 팔꿈치(주)관절이라고 한다(그림 10-1). 그림. 10. 1) 팔꿈치관절, 주관절 상완골에서, 활차(trochlea)는 척골의 활차 오목(notch)와 관절하고, 상완골소두(capitulum)는은 요골의 골두와 관절한다. 팔꿈치는 굴곡과 신전만 가능한 일축 경첩관절(uniaxial hinge)이다. (그림 10-2). 0도 신전 위치에서 측정한 굴곡도는 대략 145도이다(Lemkul, p 403). 그림. 1.. 더보기
제9장 clinical kinesiology & anatomy 어깨관절 part 2 111페이지에서 119페이지까지 번역해 올립니다. Part 2.어깨관절의 근육(Muscles of the Shoulder Joint) 어깨관절을 가로 지르는 근육은 다음과 같다. 1. 삼각근(Deltoid) 2. 극상근(Supraspinatus) 3. 대흉근(Pectoralis major) 4. 광배근(Latissimus dorsi) 5. 대원근(Teres major) 6. 극하근(Infraspinatus) 7. 소원근(Teres minor) 8. 견갑하근(Subscapularis) 9. 오구완근(Coracobrachialis) 10.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 11. 상완삼두근 장두(Triceps brachii, long head) 삼각근(Deltoid)은 어깨관절의 3면으로 덮고 있는 천.. 더보기
제 9장 clinical Kinesiology & Anatomy 어깨관절 part 1 107에서 111페이지 번역올립니다. 어깨(견) 관절( Shoulder Joint) 어깨(견)관절은 3개의 평면과 3개의 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구상(ball & socket.볼-소켓) 관절이다(그림 9-1). 견갑골의 견갑와(glenoid fossa)와 상완골의 머리(두)의 결합은 어깨 관절을 구성한다. 어깨 관절은 신체에서 가장 큰 움직임을 가진 관절 중 하나이며, 결과적으로 가장 안정적이지 않은 관절 중 하나이다. 관절 운동(Joint motions) 이러한 동작의 시작 위치는 어깨 외전 90도이다. 약 30도의 수평 외전(후진 운동)과 약 120도의 수평 내전이 있다. 회선,원회전(Circumduction)은 어깨에서 가능한 원의 궤적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것은 실제로 모든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