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체 해부 생리

복직근의 근근막통증(MPS)

                     

                          복직근 Rectus abdominis

 

 사람의 배는 존슨박사(Samuel Johnson, 1706-84)에 의해 정확히 설명되었는데, 그는 배를

젖가슴에서 허벅다리에 이르고 내장을 담고 있는 신체부위라고 정의했다.

의학용어로는 복부(Abdomen)라 하고 복직근(Rectus Abdomius)과 외복사근(External Oblique),

내복사근(Internal Oblique), 복횡근(Transverse Abdomius)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부학적으로 아랫배와 윗배의 구별은 없으나 대개 배꼽을 기준으로 볼 때 아랫배와 윗배로 나누며 여성의 경우 자궁까지 배의 일부로 포함된다.

 복부에는 배꼽(Navel / Umbilicus)과 백선(Linea alba)이라 부르는 한복판의 오목한 줄이 있다.

이 선은 배꼽에서 수직으로 올라가 가슴의 아래쪽에 이른다. 배 부위에는 약간의 성별차이(Sex difference)들이 있다. 여성의 배는 남성의 그것보다 아래부분이 더 둥그스름하고

길어서 뱃살이 찌면 엉덩이 쪽으로 이동하며, 반면 남성은 배불뚝이가 된다. 또한 여성의 배는 남성보다 신체적인 비례로 보아 더 길고 배꼽과 성기 사이가 좀더 떨어져있다. 남성과 여성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들의 신체는 한층 무거워지고 배가 커진다. 배에 군살이 붙어 감에 따라 배꼽의 모습은 수직 세장형(Vertical slit)에서 뚱뚱한 몸매의 배꼽인 둥그런 모양(Circular Shape)으로 변해간다.

지난날에는 남성의 배불뚝이는 출세와 부유함을 자랑하는 표적이었고 식사를 마음껏 할수 있는

 경제적 여유를 과시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성인병과 무절제의 상징으로 바뀌고

말았다.

 복부 단련은 복부비만을 줄여주고 자율신경을 강화시겨 소화기능을 향상시킨다.

 

복직근의 원어읽기

 

렉투스 어브도미너스 : Rectus(REK-tus): 근육결이 수직, abdominis: 배

 

통증의 형태: 복부중앙에 통증이 온다. 동시에 등의 허리와 견갑골아래의 양 쪽에

                    통증이 일어난다.

 

복직근의 해부도

기시: 치골능(Pubic Crest)과 치골결합

정지: 제 5, 6, 7 번 늑연골과 흉골의 검상돌기에 정지한다.

작용: 척추의 굴곡으로 작용하고 앞쪽 복부벽을 긴장시켜 복압을 증가시킨다.

예: 임산부의 출산, 대변보기, 운동의 윗몸 일으키기 등이 있다

 

                                      그림) 복직근의 근육 해부도

 

임상적 특징과 통증유발점과 전이통

 

네 개의 복부 근육은 복부 장기를 보호하고 복압을 증가시킬 뿐만아니라 척추의 운동을 주도하는

근육이기도하다. 따라서 복부근육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복부와 등에 전이통이 나타날뿐만 아니라 복부와 장기와의 관계에서 전이통이 복부에 나타나므로 일차적으로 의사의 진단에 의한 내부장기의 문제인지 먼저 확인한 다음 복부근육의 이상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복직근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근 골격계의 통증과 복부장기의 증상이 다양하게 동반되지만,

통증유발점이 생긴 위치에 따라  대체로 일정한 증상을 동반하게 된다.

 복직근의 상부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등의 한가운데 즉 하 흉추부로 통증이 확산된다.

광배근의 전이통도 하흉추로 확산되지만 광배근의 경우에 통증유발점이 생긴 쪽에만 한쪽으로만

통증이 일어난다. 검상돌기(흉골의 아래 명치와 닿는곳)의 측면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복부 증상 즉 복부 팽만감, 속쓰림, 소화불량, 오심과 구토, 상복부통등이 동반되기도한다.

 따라서 복직근의 상부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당낭염, 궤양 등과 감별하여야한다.

통증유발점이 왼쪽에 생긴 경우에는 협심증과도 감별이 필요한다.

 배꼽 부위에 복직근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복부산통(Cramping) 복통(Colic)이 나타나며

복직근의 외측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복통도 동반된다. 이때는 상체를 앞으로 숙여 복직근의

긴장이 감소되면 통증도 다소 감소된다.

 복직근의 하부는 통증유발점이 배꼽과 치골결합의 중간부위에 생기면 생리통이 심해지고

맥베니 포인트(Mcburney Point: 상전장골극(ASIS)와 배꼽사이의 수직선을 그렸을 때 상전장골극에서 5-8cm지점)에 통증유발점이 생겨 급성충수염과 복부근육의 통증의 감별이 필요하다.

또한 우측 복직근의 하부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만성적인 설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치골에 인접한 복직근의 최 하부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전이통은 뒤쪽으로 파급되어

 요추부위와 천장관절에 통증이 나타나고 방광의 배뇨과 괄략근의 경련이 동반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근육의 긴장도가 높아지고 짧아지는데 비하여 복직은은

오히려 전체적으로 이완되어 배가 축쳐지게 된다.

 심호흡 시 등의 통증이 심해지기도 한다(등의 양쪽에 위와 아래에).

 

 

 

                                   그림) 복직근의 통증유발점과 전이통

 

  그림 A): 상복직은 통증:  양쪽의 등쪽 중앙의 통증, 복부 충만감, 속쓰림, 소화불량 늑골연

           사이의 상복부를 가로질러 양측성 등 통증과 허리 양측성 통증호소한다.

          심호 흡시 등이 양쪽이 아프다

 그림 B): 맥베니 포인트: 충수염과 유사한 증상 호소한다. 장골와, 장골근 음경으로 통증이

              전이된다.

 그림 C); 생리통: 하복부 통증 야기 

 그림 D) 추체근: 치골 연결부와 배꼽사이에 통증, 백선을 긴장시키는 작용한다.

             보통 한쪽에만 있다. 보통 사람들에게는 찾아보기 힘들다. 

 

'인체 해부 생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쇠락  (0) 2010.11.09
유방암을 막아라  (0) 2010.10.08
땀Sweat, 알아보아요  (0) 2010.08.04
바이러스 감염에 대항하는 과정  (0) 2010.06.09
소화기관에 대해 알아보아요  (0) 2010.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