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 교육

Clinical Kinesiology & Anatomy 8장 part 2

98페이지에서 104페이지까지 번역해 올립니다.

긍금하신것은: 교육 & 관리: TEC 01038616051 남태열 

 

어깨관절과 어깨대의 동반  운동범위

(Companion Motions of the Shoulder Joint and Shoulder Girdle)


상승/하강 및 전인, 후인의 선형 이동(linear movements )중에는 상완골을 움직이지 않고 어깨대( 쇄골 및 견갑골)을 위, 아래,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어깨 관절 운동은 상방& 하방으로 회전하는 각운동(angular motions)과 동반되어야 한다.
견갑골을 위쪽으로 회전시키려면 어깨 관절도 굴곡하거나 외전(anduct)해야 한다.
어깨 관절의 굴곡이나 외전이 있을 때는 견갑골도 위쪽으로 회전해야 한다.
어깨 관절의 신전(extension)또는 내전(adduction)이 있을 때, 견갑골은 해부학적 자세(anatomical position)로 돌아가거나 아래방향으로 회전한다.

어깨대와 어깨 관절의 복잡다양함과 상호 연관된 활동들 때문에, 다른 것의 활동에 대해 논의하지 않고 기능 하나만을 논하는 것은 어렵다.
한쪽 관절이 손상되면 다른 쪽 관절도 기능이 손상된다.
다음 목록은 다양한 어깨 관절 동작 중에 발생해야 하는 어깨대 동작을 요약한 것이다.


견갑상완골 리듬(Scapulohumeral Rhythm)

견갑상완골 리듬은 어깨대와 어깨관절 사이의 움직임 관계를

더 자세히 설명하는 개념이다.
어깨 관절 운동의 첫 30도는 순수한 어깨 관절 운동이다.

그러나, 그 후, 어깨 굴곡이나 외전이 2도 일어날 때마다,

견갑골은 위로 1도 회전해야 한다.

이 2:1 비율은 견갑상완골 리듬으로 알려져 있다.
어깨 관절 동작의 첫 번째 움직임은 어깨 관절에서만

발생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지만,
더 움직이는 동작은 어깨대의 움직임이 동반되어야  한다.
사람이 해부학적 자세에 있을 때, 견갑골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손 엄지두덩을 겨드랑이에 대어 견갑골을 안정시킨다.

어깨관절을 외전하도록 지시한다
어깨 관절 운동이 손상되기 전 짧은 거리만 외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당김각(Angle of Pull)

제5장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근육의 주동근 역할(prime mover)과,

협조근(assisting mover)이 결정하거나, 특정 관절 운동에서

근육이 할 역할을 결정한다.  
어떤 역할도 그것의 크기, 당기는 각도, 가능한 관절 운동,

그리고 관절 축(axis)과 관련된 근육의 위치와 같은 요소들에

전혀 의존하지 않을 것이다.
당김 각은 대부분의 근육이 대각선으로 당기기 때문에

당기는 각도가 보통 주요 요인이다.
토크(toque)와 관련하여 7장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근육은 대각선으로 당기는 선(diagonal line of pull)을 가지고 있다.
그 대각선 끌어당기는 힘은 수직력과 수평력의 결과물이다.

어깨대의 경우, 당기는 수직 각도가 더 큰 근육은 견갑골을

위 또는 아래로 당기는 데 효과적일 것이다

(견갑골을 상승, 하강시키는 것).

수평 당김이 더 큰 근육은 견갑골을 안(전인, protaction)으로

또는 밖(후인, retraction)으로 당기는 데 더 효과적일 것이다.
수평 및 수직 당김이 더 동등한 근육은 두 동작 모두의

역할을 한다(그림 5-12 참조).
예를 들어, 견갑거근은 더 강한 수직 성분을 가지고 있고,

중부승모근은 더 강한 수평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능형근은

양쪽 방향(수평, 수직)에서 더 동등한 당김을 가지고 있다.
이 장의 뒷부분에서 이러한 근육에 대해 설명하면 알 수 있듯이,

견갑거근은 견갑골 상승의 주동근이보, 중부승모근은 후인의

주동근이고, 능형근은 상승과 후인 모두에서 주동근이다.

어깨대 근육(muscles of the shoulder girdle)

근육 설명(muscle descriptions)

견갑골을 움직이는 데는 주로 다섯 개의 근육이 있다.

각각의 근육은  위치(location)와 작용(function)에 특히 중점을 두고

논의될 것이다.

이어서 근위부 기시점(O,origion), 원위부 정지점(I, insertion),

관절의 주동근의 작용(A.action)에 대한 요약이 이어진다.
이 목록은 명확성을 위해 제공되며, 설명만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

학생은 첨부 파일을 시각화하고 이러한 목록을 암기하는 대신

적절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것이 좋다.
근육을 신경화하는 신경(N)과 신경의 척수 수준도 주어진다.

어깨대의 근육들은 다음과 같다.
The muscles of the shoulder girdle are the:

- 승모근 Trapezius
-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 능형근 Rhomboids
- 전거근 Serratus anterior
- 소흉근 Pectoralis minor

승모근

승모근(그림. 8-11)은 큰 표면 근육으로, 오른쪽과 왼쪽을 모두 볼 때

다이아몬드 모양이다.

기능적으로, 보통 상, 중, 하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이러한 분리의 이유는 서로 다른 근육 작용을 일으키는

세 가지 ( 위, 아래, 안쪽) 다른 당김선이 있기 때문이다.
  상부 승모근(그림 8-12)은 후두돌기(occipital protuberance)와

상부 경추의 목덜미인대(nucha ligament)에서 기시한다.

목덜미인대는 경추의 극돌기에 정지된다.
상부승모근은 쇄골과 견봉돌기의 외측면 끝에 부착된다.
당기는 대각선이 수평(in)보다 수직(up)이기 때문에 견갑골의

상승과 상방회전에서는 주동근이며 견갑골 후인(retraction)에서는

보조근일 뿐이다.

중부승모근(그림 8-13)은 C7의 하부 경추와 극돌기의

목덜미 인대 및 흉부 상부의 척추뼈에서 시작하며, 견갑골의 극(scapular spine)의

내, 외측면과 견갑골을 따라 정지한다.
당김선은 수평이므로 견갑골 후인에 매우 효과적이다.

당김선은 상방회전(upward rotation)을 위해 축 바로 위를 통과하기

때문에 견갑골 상방회전에서 역할은 보조적일 뿐이다.

그림 8-11) 승모근의 세 부위 근육들

그림 8-12) 상부승모근

그림 8-13) 중부승모근

하부승모근(그림 8-14)은 중·하부 흉추와 견갑골 척추의 기저부에

기시(출발)되어 견갑골의 극에  서 정지된다.
당기는 대각선은 (수평)보다 아래쪽으로(수직) 더 높아서

견갑골의 움푹 들어간 곳과 위쪽으로 회전에 효과적이며,

후인(retraction)에만 보조적이다.
승모근의 모든 세 부분은 견갑골을 후인시키기 위해 함께 작용한다.

그러나 중부승모근이 주동근이고 상부와 하부승모근이

보조만 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상부와 하부승모근은 상승/하강에서 서로 대립하며,

상방회전에서는 주동근이다. 이러한 근육의 상방회전 구성 요소를

시각화하려면 견갑골을 스티어링 휠로 간주한다(그림 8-15).
이 예에서는 오른쪽 견갑골이 사용된다.
견갑골의 하각(inferior angle)을 나타내도록 바퀴 하단에 리본을 묶는다.
오른손을 상부승모근 정지부위를 나타내는 2시 위치에 놓고, 왼쪽 손을

하부승모근 정지부를 나타내는 10시 위치에 놓는다.
휠을 왼쪽으로 돌리고 리본이 오른쪽을 향해 위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한다.
견갑골의 경우, 상부승모근(오른손)이 위와 안쪽으로 움직이고,

하부승모근(왼손)은  아래쪽과 안쪽으로 움직인다. 이렇게 힘을 합치면

하각이 위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방 회전).

그림 8-14.) 하부 승모근

그림 8-15.) 오른 견갑골 회전 운동

상부승모근(Upper Trapezius M.)

- 기시 O.: 후두골(Occipital bone), 경추극돌기의 목덜미인대(nuchal ligament)

- 정지 I.: 쇄골 외측 1/3, 견봉돌기(Outer third of clavicle, acromionprocess)

- 작용 A.:견갑골 들어 올리기, 상방회전(Scapular elevation and upward rotation)

- 신경 N.: 뇌신경의 부신경(11번 accessory (cranial nerve XI), C3 and C4 신경

중부 승모근(Middle Trapezius M.)

- 기시 O.: 극돌기 흉추 7번에서 흉추 3번까지  (Spinous processes of C7 through T3)

- 정지 I.: 견갑극(Scapular spine)

 

- 작용 A.: 견갑골 내전(Scapular retraction)

 

- 신경 N.: 11번 뇌신경S(accessory (cranial nerve XI),경추 3, 4(C3 and C4 sensory component)

하부승모근(Lower Trapezius M.)

- 기시 O.: 흉추 극돌기의 중간과  낮은 쪽(Spinous processes of middle and lower thoracic vertebrae )

 

- 정지 I. : 견갑극의 전체(Base of the scapular spine)


- 작용 A.: 견갑골 하강과 상방회전)Scapular depression and upward rotation)


- 신경 N.: 11번 뇌신경의 부신경accessory (cranial nerve XI), 경추 3, 4(C3 and C4 sensory component)

견갑거근(levator scapula)은 견갑골 들어올리는 기능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다.
완전히 승모근으로 덮여 있다. 경추 1번에서 경추 4번까지의  (C1에서 C4)까지의 횡돌기에서 기시하여  견갑극의 상각과 척추 사이의 견갑골의 척추 경계에 정지된다

(그림 8-16).
대각선 끌어당김선은 대부분 수직이다.
따라서 견갑골 상승의 주동근이며, 후인에서는 보조근일 뿐이다. 

또한 하방 회전의 주동근이다. 왼손으로 10시 방향의 위치에 있는

핸들을 시각화보면. 위로 당기고(휠을 오른쪽으로 돌림)

하부 각도(리본)가 왼쪽(하방회전)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다.
하방 회전은 상방 회전된 위치에서 해부학적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다.

그림 8-16) 견갑거근( levator scapula)

견갑거근(Levator Scapula M.)

- 기시 O.: 경추 1번에서 4번까지의 횡돌기 (Transverse processes of first four cervical vertebrae )


- 정지 I. 견갑극의 상각과 척추 사이의 견갑골의 척추 경계에 정지( Vertebral border of scapula between the superior angle and spine)


- 작용 A.: 견갑골 상승과 하방회전(Scapular elevation and downward rotation)


- 신경 N.: 경추 3번과 4번신경과 견갑배신경의 경추 5번(Third and fourth cervical nerves and dorsal scapular nerve,C5)

능형근(rhomboid muscles)은 대능형근(rhomboid major)과 소능형근(rhomboid minor)

근육의 두 가지이다. 이 두 근육을 분리하는 것이 해부학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함께 하나의 근육으로 일반적으로 간주한다. 능형근은 그들의 모양(shape)에서

이름을 유래한다.

이 기하학적 모양은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으로, 직각 대신 사선으로

비스듬히(skewed)되어 있다.
능형근은 승모근 아래에 있는 심층근육으로 승모근이 이완될 때

촉진될 수 있다.
경추(C7)에서 흉추(T5)까지의 목덜미 인대와 극돌기에서 기시하며,

견갑거근 아래 견갑골의 극(spine)에서 하각사이의 견갑골의

척추연에 정지된다(그림 8-17).
당김선은 사선이므로 수평 및 수직 구성 요소가 좋기 때문에

후인 및 상승의 주동근으로 작용된다.

그림 8-17) 능형근( rhomboid muscle)

견갑거근처럼 견갑골을 하방회전시킨다.

능형근(rhomboid muscle)

- 기시 O.: 경추 7번에서 흉추 7번 극돌기
       (C7 ~ T5 )


- 정지 I. 견갑극에서 하각 사이의 견갑골의 척추연


- 작용 A.견갑골 수축, 상승 및 하향 회전


- 신경 N.: 견갑배신경(C5)


전거근 (Serratus Anterior Muscle)


전거근의 작용 없이 팔을 머리 위로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흉곽의 앞쪽 외측면에 붙어 있는 톱니 모양(sawtooth), 

또는 톱니 모양에서 이름을 따왔다.
천층근육이며, 팔을 머리 위로 들면 촉진된다.
근육은 견갑골과 늑골 우리 사이의 뒷쪽으로 지나간다.
상각과 하각 사이의 척추 경계를 따라 견갑골의 전면 표면에 정지된다(그림 8-18).
거의 수평으로 외측으로 당김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견갑골의

전인(protraction)의 주동근이 된다.
견갑골의 아랫부분을 외측면으로 잡아당기는 하부 섬유는

견갑골을 위쪽으로 회전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이 섬유들은 상부와 하부승모근의과 결합하여 견갑골을 위쪽으로

회전시키는 쌍힘(force couple)을 형성한다.

이 근육의 또 다른 기능은 견갑골의 척추 경계를 늑골부터

벗어나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 근육이 없으면 척추 경계가 늑골에서 떨어져 나오는데,

이를 "견갑의 날개 (winging of the scapula)" "라고 한다(그림 8-19).

그림 8-18) 전거근( serratus anterior muscle)

전거근(Serratus Anterior Muscle)

- 기시 O.: 늑골 제 1번부터 제 8번까지의 외측 표면

(Lateral surface of the upper eight ribs)
- 정지 I.: 견갑골 전면의 척추연(Vertebral border of the scapula, anterior surface)


- 작용 A.: 견갑골 전인과  상방회전(Scapular protraction and upward rotation)


- 신경 N.: 흉장 신경(Long thoracic nerve C5, C6, C7)

그림 8-19) 견갑날개, 여성의 왼 전거근이 마비 되었다.

이 여성이 두손으로 벽을 밀 때 ,

그녀의 왼 견갑골은 늑골로부터 멀어져 돌출된다.

소흉근(pectoralis minor)은 대흉근(pectoralis majo)의 깊숙한 곳에 위치하며,

어깨대 근육 중 유일하게 몸의 전면에 위치한다.
늑 연골 근처의 세 번째 늑골에서 다섯 번째 늑골의 앞쪽 면에서

기시하여 견갑골의 부리돌기coracoid process of the scapula)에

정지되는 부분까지 위로 올라가 정지된다(그림 8-20).
아래쪽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당김선은 대부분 수직이며,

견갑골 하강, 하방회전, 견갑골 기울기(tilt)의 주동근이다.

다소 하강 작용을 쉽게 볼 수 있지만, 근육이 앞면에 있는 반면,

견갑골은 뒷면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하방회전이 덜 뚜렷하다.
리본(견갑골의 하각)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면서

스티어링(steering) 휠(wheel)을 다시 시각화해본다.

당신의 오른 손을 2시 방향(부리돌기)에 놓고 아래로 당긴다.
리본(하각)이 왼쪽을 향해 아래로 이동한다(하방 회전).

소흉근은 견갑골의 전방 상부에 정지되어 있고(부리돌기),

갈비뼈에 정지되어 있는 쪽으로 수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견갑골의 윗부분이 아래로 당겨지고

앞으로 당겨져 아래(하 각)가 '밖으로' 기울어지(tip)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소흉근은 '견갑골기울기'를 유발한다.

소흉근

- 기시 O.:  세 번째에서 다섯 번째 늑골의 앞면


- 정지 I.: 견갑골의 부리돌기


- 작용 A.: 견갑골의 하강, 전인, 하방회전 및  견갑골 기울기


- 신경 N.:내측흉신경(C8, T1)

그림 8-20) 소흉근

다음 목록은 어깨대의 주동근을 요약한 것이다.

     작용                          근육

    후인                         중부승모근
                                     능형근
     전인                         전거근
                                     소흉근
     상승                         상부승모근
                                     견갑거근
                                      능형근
    하강                           하부승모근
                                      소흉근
    상방회전                     상부,하부승모근
                                      전거근(하부섬유)
    하방회전                     능형근, 견갑거근
                                       소흉근

견갑골 기울기               소흉근

쌍힘(force couples)

힘쌍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방향으로 당기는

근육으로 정의된다. 어깨대의 경우, 상부승모근이 위로 당겨지고,

하부승모근이 아래로 당겨지며, 전거근의 하부의 섬유는

수평 방향으로 외측으로 당긴다(그림 8-21).
최종적인 효과는 견갑골이 상방회전하는 것이다.
하방회전하는 것은 쌍힘의 또 다른 예이다. 소흉근의 복합적인

효과는 아래로 당기고, 능형근은 안으로 당기고, 위쪽으로

당기는 견갑거근은 견갑골을 아래로 회전시키는 것이다(그림 8-22).
이 동작은 목재를 자르거나 카누의 노젖기 할 때처럼

어깨 관절이 강제저으로 신전 될 때 실행된다.
견갑골의 하방회전하는 것은 어깨 관절의 신전을 동반해야 한다.

그림 8-21) 쌍힘은 견갑골을 상방회전시킨다.

그림 8-22) 쌍힘은 견갑골을 하방회전시킨다.

근육 작용의 반작용

어깨대의  근육의 작용은 기시점을 향해 움직이는 정지점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정지점(insertion)이 안정되면 기시점(ㅇorigin)이 이동한다.
제5장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것은 '근육 작용의 반작용'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어깨대들 근육의 일부가 다른 관절, 주로 머리와 목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후두골과 경추에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승모근은

머리와 목을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 어깨대가 안정되면,

상부승모근은 머리와 목을 신전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고, 같은 방향으로 (동측면)으로 외측굴곡하고 반대쪽(반대측면)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어깨대가 안정되면, 하부승모근은  작용을 역전시키고

몸통을  들어올리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 경우는 목발을 짚고 걸을 때 특히 유용하다.

앞바닥에 목발을 딪은 채 몸을 흔들며 나아간다.

척추의 아래쪽 기시점은 견갑골의 위쪽 정지부 쪽으로 이동하며,

목발을 통해 몸을 들어올린다.
견갑골이 안정되면, 견갑거근은 목을 움직일 수 있다.

그것은 목 근육인 두판상근은 목을 회전하고 같은 쪽으로

외측굴곡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근육 신경 분포의 요약

어깨대는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의 말단 신경부터

근위신경분지의 다양한 것까지 척수로부터 상당히 많은 신경을 얻는다.
11번째 뇌신경(부신경)은 C3와 C4의 감각 신경과 함께

승모근을 신경화시킨다.
제3경추신경과 제4경추신경은 견갑거근을 신경지배하고,

C5에서 오는 견갑배신경(dorsal scapular nerve)에 의해

부분적인 신경 지배를 받는다.
전거근은 C5에서 C7까지 가지들로 이루어진 장흉신경에

의해 신경을 받고,

능형근은 경추 5번의 척수 전가지(anterior ramus)의 분지인

견갑배신경(dorsal scapular nerve)에 의해 지배받는다.
소흉근(pectoralis minor)은 상완신경총의 내측 가지의

분류인 내흉곽신경(medial pectoral nerve)으로부터

신경 지배를 받는다.
도표 8-1은 이러한 근육의 신경 지배를 요약하고
도표 8-2는 각 근육의 척수 신경 지배 수준을 나타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