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관절 운동 Part 4.
견관절은 견갑골과 상완골의 리듬으로 관절의 운동범위가
생깁니다. 팔을 움직일 때 견갑골과 상완골은 1: 2로 움직입니다.
팔을 들때 상완골이 10cm 움직이면 견갑골은 5cm정도 따라 간다는 뜻입니다.
오십견 재활 관리 시 견갑골의 거상, 후인, 전인같은 역할을 하는
근육들을 관리 해보시면 좋아요
1. 견관절 거상(scapular elevation),
2. 견갑골 하강(scapular depression)
1. 견갑골 거상근
주동근:
1) 승모근(trapezius)
- 척추 부신경, 뇌신경 11번 부신경
2)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 C3,4 때론 장견갑배신경의 C5 가지
보조근:
1) 대능형근(rhomboid major)
2) 소능형근(rhomboid minor)

그림 1) 견갑골의 거상: shoulder shrug(어깨 으쓱하기)
상부 승모근 발달을 위해 좋고, 어깨 경직이 있을때
어깨 으쓱하기 반복하면 효과가 좋아요
2. 견갑골 하강근
주동근:
1) 소흉근(petoralis minor)
2) 하승모근(lower trapezius)

그림 2) 하강근: 소흉근, 하승모근이 경직되면 견봉이 올라간채로
어깨가 유지 될수 있어요
이 두 근육을 풀어야 어깨 경직도 좋아져요
'근육학&해부생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바깥쪽(외측) 발목을 잘 삘까요(염좌)? (0) | 2021.04.08 |
---|---|
견관절 운동 part 5. 후인, 전인 수평외전근, 수평내전근 (0) | 2021.03.12 |
견관절 외회전과 내회전 근육 (0) | 2021.02.10 |
견관절의 외전과 내전 운동 (0) | 2021.01.31 |
허리가 망가져 가는 이유 (0) | 202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