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해부생리

족관절의 운동범위(굴곡, 신전, 외전, 내전,내반 외반)

 

 

 

족관절운동범위 Range of Motion of Ankle Joint

 

교육문의& 상담: 01038616051 남태열 

 

 

발과 족관절은 가동성이 많다. 기본적인 족관절의 운동범위는 다음과 같다:

 

1) 족관절운동(ankle motion)

배측굴곡(Dorsiflexion)

저측굴곡(Plantarflexion)

2) 거골하관절 운동(Subtalar motion)

내반(Inversion)

외반(Eversion)

3) 중족관절 운동(Midtarsal motion)

앞발 내전(forefoot adduction)

앞발 외전(forefoot abduction)

4) 발가락 운동(toe motion)

굴곡(flexion)

  신전(extension)

 

족관절과 거골하관절 중족관절의 움직임 사이의 정확한 구별이 필요하다.

 

 

 

능동적 관절운동범위(Active range of motion)

 

순수한 능동적 검사방법은 아니지만 족관절과 발의 운동범위의 파악을 위해 신속한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족저굴곡과 발가락의 운동을 검사하려면 고객에게 발끝으로 걷게 한다.

배측굴곡을 검사하기위해서는 뒤꿈치로 걸어보게 한다.(그림 1참조).

이 방법은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을 수도 있지만 고객의 비정상적인 기능을 충분히 알 수 있다.

고객이 능동적인 과정을 시행할 수 없다면 운동 제한의 원인을 판단하기 위해

수동 관절 운동(passive test)을 실시한다.

 

 

 

수동적 관절운동범위(Passive range of motion)

 

- 족관절 배측굴곡(ankle dorsiflexion)- 20도

- 족관절 저측굴곡(ankle plantarflexion)- 50도

 

 배측굴곡과 저측굴곡은 과상간(양 복사뼈-내과, 외과) 관절강(ankle mortise: 그림 4의 발목부위 수평화살표)

안에서 경골괴 비골 그리고 거골사이에서 일어난다.

외과와 내과(medial & lateral malleoli)의 중심선을 그어보면 거의 족관절 운동의 축(Axis)이 된다.

관리사는 고객에게 마사지테이블의 끝에 양 다리를 늘어뜨리고 앉으라고 한다.

양쪽 무릎을 구부리면 비복근은 이완되어 비복근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가 가까워진다.

배측굴곡이 제한 될 수 있는 요인을 없앤다. 다음, 종골(발뒤꿈치 뼈)잡고서 거골하 관절을 고정한다.

족관절 운동만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전족부의 대응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후족부에서 전족부를 내반시키면서 고정시킨다.

관리사는 전족부를 잡고 족관절을 배측, 저측굴곡을 시킨다.(그림 2, 3참조)

 

 

 

 

그림 1) 족관절의 운동범위와 검사방법(위쪽그림)

그림 2) 족관절 배측굴곡 그림 (아래 왼쪽 그림) 3) 족관절 저측굴곡(아래 오른쪽 그림)

 

 족관절을 저측굴곡시킬 때 정상적으로 양쪽 과(복사뼈)사이에서 거골은 약간 외측으로 움직인다.

거골의 발 등쪽면은 경골과 비골로 형성된 소켓(socket)또는 과간관절강에 맞게 되어 있으며

소켓과 거골은 전면이 넓게되어 있다.

족관절을 배측굴곡 했을 때 거골은 양쪽 과(복사뼈)사이에 놓이며 약간 외측으로 움직인다.

양쪽 과 사이이 내경이 2차적인 외상(traumma)으로 인하여 좁아지게 되거나 발의 족관절을 첨족위

(position of equinus: 여성들의 하이힐로 인해 앞발과 발가락이 상당히 밑쪽으로 이동하는것)로 장시간

석고(cast)로 고정해 놓으면 (양쪽 과 사이의 경직(구축, contracting) 거골 둠(dome)의 넓은 전방부는

과간 관절강에 쉽게 잘맞지 않기 때문에 족관절의 배측굴곡이 제한된다. (그림 4참조)

 

그림 4) 양쪽과 사이의 거리( intermalleolar distance)이 협소해 지면 배측굴곡이 제한되면.

거골둠의 넓은 전방면은 과간 관절강 속으로 쉽게 들어 갈 수 없게 된다.

 

그림 5) 부종은 관절운동을 제한시킨다.

그림 6) 관절고정은 관절운동을 제한시킨 다.

그림 7) 관절낭(joint capsule)의 경직은 관절운동범위를 제한시킨다.

 

 

관절의 운동제한은 관절의 부종((염좌나 심장부전으로 인한 2차적인 문제) 때문일 수도 있다.

이 부종은 족관절이 석고를 한 것처럼 갑갑함을 느낀다.

관절내의 부종은 족관절을 고정시키거나 관절낭이 경직된 것처럼

족관절의 운동을 감소시킨다.(그림 5, 6, 7참조)

 

 

 

거골하 관절 내반(subtalar inversion) - 5도

외반(eversion)- 5도

 

이 운동은 발이 거친면을 딛어도 제 기능을 할 수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거골,종골(talocaneal),

거골, 주상골(talonavicular), 종골입방골(calcaneocuboid)고나절에서 주로 일어나는 운동이다.

내반과 외반을 검사하려면 고객을 마사지테이블 끝에 앉아있게 하고 경골하부를 잡아 고정하고

종골을 잡아 발 뒤꿈치를 교대로 내반. 외반한다.(그림 8, 9참조). 종골골절이 거골하 관절까지

확대되어 2차적으로 생긴 거골하 관절염(subtalar arthritis)고객은 이 운동을 할 때는 통증을 호소한다.

젊은이와 노인은 거골하 관절운동에는 다소 차이가 생긴다.

 

 

그림 8) 내반 검사 그림

그림 9) 외반 검사

그림 10) 전족부 내전 검사

그림 11) 전족부 외전 검사

 

 

 

전족부(fore foot)

내전(adduction)- 20도

외전(abduction0-10도

 

 전복부의 내전과 외전운동은 주로 종족근 관절(mistalsal)일어난다. 검사방법은 한손으로 고객의

종골을 잡고 발 뒤꿈치를 고정한 다음 관리사의 다른손으로 전족부를 내측과 외측으로 움직인다.

이 운동 각도는 정확하게 측정하기는 여렵지만 어는 정도는 느껴진다.(그림 10,11참조) 비록 내반과

외반운동은 내전과 외전운동과 분리해서 검사할 수 있지만, 정상적으로는 이 네 가지의 운동이 결합하여

내전을 동반한(회외,supination), 외전을 동반한 외반(회내, pronation)운동을 하게 된다.

 

 

 

제 1 종족지 관절 (1st metatarsophlangeal joint)

굴곡(flexion) -45도

신전(extension) -70-90도

 

  제 1종족지 관절의 운동은 보행주기에서 발끝떼기(Toe off)에서 주로

일어나기 때문에 정상보행에서

매우 중요한 운동으로 검사하려면 고객의 발을 고정하고

엄지발가락을 중족지관절에서 굴곡과 신전을 한다.(그림 12참조).

 

정상적인 발끝떼기는 최소 35도-40도의 신전이 요구된다.

만일 운동이 제 1종족지관절에서 현저히 감소되거나

관절이 고정 또는 부분고정(강직성굴지증)이 되어 있으면 발을 보호하려는 보행을 하게

되어 발끝떼기의 시기는 짧아지게 되고 제 1중족지관절에 받는 압력을 피하기

위해 발을 비스듬히 하여 발을 떼게 된다(그림 13참조).

 

네 개의 작은 발가락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보행은 부자연스럽게 되고 통증을

유발한다. 또한 고객의 구두에는 수평이 아닌 사선의 주름이 생긴다.(그림 14참조)

 

강직성 굴지증의 경우에 있어서는 발가락을 신전시키면 심한 통증 때문에 신전은 범위가

작아지나 굴곡운동은 거의 정상이 된다.

 

 

림 12) 제 1ㅣ종족지 관절의 굴곡과 신전의 관절운동범위

그림 13) 강직성 굴지증으로 인한 발의 이상 형태, 문제시 발끝떼기(toe off)단계에서 엄지발가락이 아닌

2,3,4,5 발가락을 사용한다.

그림 14) 좌: 구두의 비정상적인 사선주름: 강직성 굴지증을 나타낸다.

우: 정상상태의 주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