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해부생리

중년 여성의 후천적 훤다리

 

                                                후천적 훤다리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면 휜 다리는 무릎 내측 연골손상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무릎안쪽 연골이

반대쪽보다 많이 닳게 되면 다리가 휘어보이게 된다. 이런 경우 무릎연골이 닳는 관절염은 물론

반월상연골판 파열 등의 문제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이미 손상된 연골은 스스로 재생되지 않고 계속범위가 커지기 때문에 무릎안쪽의 압력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다리가 기울기가 차이가 있으면 골반의 높낮이가 차이가 나고, 또한 척추가 굽고 어깨의

높낮이 차이가 생겨 어깨 결림 등 각종 관절질환, 골격질환이 나타난다.

 


 

 

 

            그림) 후천적으로 한국여성은 서양여성에 비해 훤다리가 많다. 내측 반월판과 연골이 손상되면 "o"자형 훤다리가 된다.

 

안타까운 폐경기 후의 중년여성

 

 서양인에 비해 동양인,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더 많은 훤 다리는 좌식생활과 집안일 등의 생활습관과 관련이 깊다.

좌식생활을 오래하다 보면 무릎안쪽에 하중이 많이 걸려 내측연골이 닳게 된다. 여기에 오랜 시간을 무릎을

꿇고 걸레질을 하거나 쪼그리고 앉아서 빨래하기같은 일들을 오래 반복적으로 하는 한국여성들은 서양인에 비해

더 빨리 연골이 닳게 된다. 특히 50대 중년 여성에게 이런 변화가 뚜렷한데, 폐경도 영향을 미친다.

폐경을 겪은 여성은 여성호르몬에 함유된 단백질을 구성하는 성분이 줄어들어 연골이 약하게 되어
뼈와 연골 같은 결체조직의 손상을 입기 쉬운 상태가 된다.

 연골은 사용하면 할수록 닳는 소모성 조직이기 때문에 이미 닳기 시작한 연골은 충격을 받는

만큼 손상은 가속화된다.

  40-50세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전과 폐경 후의 Q각(대퇴골과 경골의 각도)을 알아본 결과는 폐경

전의 중년의 Q각의 평균 수치는 5.8도인 데 반해 폐경이 진행된 중년여성의 경우는 평균 6.9도로 폐경

전 여성보다 다리가 훤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