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해부생리

6장 part: 2 말초신경


말초신경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말초신경(PNS)은 대부분 척추관(vertebral cancal) 밖의 모든 신경조직으로 이루어진다.

실제로 척수(spinal cord)의 전각(anterior horn)에서 시작하여

 근육으로 운동자극(moter impulse)을 보내고 피부로부터 감각 자극(sensory impulse)을 받는다.

 

뇌신경 Cranial nerves

 

12개의 뇌신경은 이름과 번호를 가진다.

뇌신경은 뇌 안에서 기시(origin)를 하고, 뇌의 하부 표면에서

기시를 가장 잘 볼 수 있다.(fig. 6-18, 뇌신경과 그 분포,

olfactory(후각) optic(시각) oculomoter(동안) trochlear(활차) trigeminal삼차)

Abducens(외전) Facial(얼굴) Vestibulocochlear(전정와우) Glossopharyngeal(설인)

Vagus(미주신경) Accessory(부신경) Hypoglossal(설하신경)

 

 

 

뇌신경은 감각신경과 운동신경, 이 두 가지를 합친 혼합신경(mixed nerves)이 있다.

 

도표 6-2는 뇌신경의 기능을 요약하였다.

 

도표 6-2 뇌신경 Cranial nerves

 숫Number   이름 Name 유형 Type 기능 Function
I   후각신경 감각 냄새
II   시각신경 감각 시각
III   동안(눈동자) 운동 눈의 움직임
IV   활차신경(도르레) 운동 눈의 움직임
V   삼차신경 혼합신경 감각: 얼굴, 운동: 씹는 행위
VI   외전신경 운동 눈의 움직임
VII   안면(얼굴)신경 혼합 감각: , 운동: 얼굴 근육
VIII   전정와우신경 감각 듣는것
IX   설인신경(혀와 인두) 혼합 감각: , 인두, 중뇌
운동: 인두의 움직임
X   미주신경 혼합 감각: 심장, , 소화기계,
, 운동: 심장 폐, 소화기계
XI   부신경 운동 승모근, 흉쇄유돌근 운동
XII   설하신경 운동 혀의 움직임

 

 

12가지 뇌신경 중에서 삼차신경(V), 안면신경(VII), 부신경(XI)은 특정 근육에

 대한 조절의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신경이다.

 

다음 장에서는 각 근육에 대한 요약 설명과 함께

근육의 신경지배(innervation)에 대한 설명할 것이다.

 

척수신경 Spinal nerves

 

31쌍의 척수신경이 있다. 척수신경은 경추의 8, 흉추의 12,

요추 5, 천골 5, 미골의 1개로 구성되어 있다.

 

(fig. 6-19, 흉추부위의 척수신경의 전 가지는 늑간신경을 발생한다.

척수신경의 다른 부위는 총(plexus)이라는 복합적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경추신경총(cervical plexus),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

 늑간신경(intercostal nerves), 요추신경총(lumbar plexus), 천골신경총(sacral plexus))

 

첫 번째 경추신경(경추 1번에서 7번까지)은 해당 척추 위로 척추관을 빠져나간다.

예를 들면, 경추신경 3번은 경추3번에서 빠져나간다.

 경추신경은 경추보다 하나 더 있다. 경추신경 8번이 그것이다.

경추신경8번은 경추7번 아래, 흉추1번 위에 존재한다.

흉추1번신경은 흉추1번 아래에 있고, 척주(vertebral column)아래족으로 내려간다.

 

척수신경의 가지 Branches of Spinal nerves

 

일단 척수외측에 있는 전근(운동)과 후근(감각) 함께 결합하여

척수신경을 형성하는데 이신경은 추간공(intervertebral foramen)을 통과한다.

 

 

 

 (fig. 6-20, 전외측 흉추 척수와 그 척수신경의 두 가지 부위, 늑간신경(흉신경, intercostal nerve),

교감체(sympathetic trunk), 배측지(dorsal ramus), 척수(회백질(spinal cord, gray matter),

배측근(dorsal root), 복측지(ventral ramus), 척수신경(spinal nerve), 복측근(ventral root),

회백질과 배질교통지(gray & white communicating rami).

 

거의 즉시, 신경은 후()지라고 부르는 가지(branch)를 보낸다.

모든 척수신경의 이 가지들은 근육을 덮고 있는 피부뿐만 아니라

 등의 심층근육에 까지 신경을 보낸다.

척수신경은 전지(anterior ramus)이어진다.

  이 가지(rami, ramus의 복수형)들은

후지에 의해 지배받지 않는 모든 근육과 피부를 지배한다.

후지에 단지 말초적으로 위치하는 것은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한 가지이다. 혈압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작용이 생명에 관한 것이지만 여기서는 논하지 않고,

대신에 전지를 통해 대부분 일어나는 운동기능에 대해 강조할 것이다.

 

 

피부절 dermatomes

 

피부에는 척수의 감각섬유가 연결되는데 이를 피부절(dermatomes)라고 한다.

 

 

 

(fig. 6-21, 피부절: 피부의 신경지배 부위, C는 경추, T는 흉추, L은 요추, S는 천골)

가끔 연속적인 부분이 겹치는 경우가 있다.

2개 이상의 척수신경이 기능을 상실하지 않는 한

그 부위의 완전한 마취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만약 한 부상이 하나의 척수신경을 동반한다면,

감각은 감소되거나 변화 될 것이지만, 없어지지는 않는다.

 

흉추신경 Thoracic nerves

 

흉추신경에는 12쌍이 있다.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의 일부인 T1을 제외하고,

흉추신경은 서로 부분적 관계를 유지하고 다른 신경과 결합하지 않는다.

각 신경은 후지(ramus)과 전지로 갈라진다.(fig. 6-19 참조)

후지는 등 근육과 근육을 덮고 있는 피부에 신경을 분포한다. 전지(anterior rami)는 

 전부와 외측 몸통의 피부뿐만 아니라 전부몸통과 외측 근육의

늑간신경(intercoastal nerves)으로 된다.

 

 

척수(spinal cord) 수준의 기능적 중요성(functional significance)

 

fig 6-22에서 그려진, 경추 부위의 척수신경(spinal nerves)이 척추보다

높은 척수(spinal cord)에서 빠져나간다.

경추8번의 척수신경은 척추(경추는 7개이다)보다 경추신경이

하나 더 있기 때문에 경추7(C7)번 아래로 나온다. 흉추1번 척수신경을 시작으로,

흉추1번 이하의 모든 척수신경은 동일한 번호의 척추보다 낮게 나온다.

이 같은 그림에서 주요 근육의 신경지배(innervation) 수준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다.

(fig. 6-22, 척수신경이 척추에서 빠져나가는 위치와 그에 상응하는 위치.

또한 근육신경지배와 척수 수준의 비교를 보여준다. Cervical(경추),

흉추(thoracic), 요추(lumbar), 천골(sacral), 미골(coccyx), 근육신경

지배수준(muscle innervation level), 척수신경수준(spinal nerve level),

척추수준(vertebral level) 횡격막 & 승모근(diaphragm&trapezius).

삼각근&상완이두근, 손목신전근, 상완삼두근(deltoid& biceps, wrist extensors, triceps),

손내재근(hand intrinsics) 늑간(intercostals), 북부(abdominals),

 다리근육(leg muscles), 발 근육(foot muscles), & 방광(bowels & bladder))

 

 

대부분의 근육들은 하나 이상의 척수로부터 신경지배(innervation)

받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한 척수의 부상은 근육을 약화시킬 수 있지만,

약간의 기능은 남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팔꿈치관절 굴곡근(elbow flexors)

경추 5,6으로부터 신경지배를 받는다. 경추5(C5) 수준의 상해는 팔꿈치 굴곡(flexion)

약화하지만, 기능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경추5번 척수신경이 경추5번 척수 위로 척수를 빠져나가는 반면,

경추 6번 척수신경은 경추5번 척수 아래로 빠져 나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추5번 척수신경은 다치지 않을 수 있으며, 팔꿈치 굴곡근은

부분적인 신경지배를 계속 받을 수 있다. 개인들 간에 다소 변화가 있지만,

몇 몇 일반적인 진술은 척수의 다양한 수준에서 작용 수준에 대해 언급되어 진다.

경추 3번과 그 위의 척수손상을 입은 사람은 횡격막의 기능을 하지 못하며,

도움 없이는 숨을 쉴 수 없을 것이다. 비록 호흡은 손상될지라도,

그 수준이하로, 사람은 아마도 도움없이 숨을 쉴 수 있을 것이다.

어깨 외전근과 팔꿈치 굴곡근은 경추5번의 척수의 신경지배 관여로

온전하게 유지되어 상지(upper extremities)의 작용이 넓어진다.

손목 신전근(wrist extensors)은 경추6번과 경추8번의 신경지배를 받는다.

반면에 상완삼두근은 경추7번과 경추8번의 신경 지배를 받는다.

손의 내재근(intrinsic)은 경추7번에서 흉추1번까지 상지에 마지막으로 이어진다.

흉부 수준에서, 근육은 각 척추 수준에서 신경지배(innervation)를 받는다.

늑간근(intercostals)과 척추기립근(erector spinae)들은 흉부전체에 걸쳐

신경지배를 받기 때문에, 부상의 정도가 낮을수록 더 많은 근육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

 복근은 하부 흉부 수준으로부터 신경지배를 받는다.

 

요추(lumbar)와 천골(sacral) 부위는 신경총(plexus)의 신경지배에

의해 조절되므로,그래서 다시 한번, 부상의 정도는 어떤 근육이 작용하는지

아는데 중요할 것이다.

고관절굴곡근과 슬관절신전근은 요추2번과 요추4번 사이에서 신경이 나온다.

고관절내전근은 요추2번에서 요추3번에서 고관절외전근은 요추4번에서

요추5번에서 신경이 시작된다. 고관절신전근과 슬관절굴곡근은

요추5번에서 천골2을 통해 신경이 출발한다.

마지막으로 신경지배를 받는 창자와 방광은 천골4번과 천골5번의 통제를 받는다.

 

척수를 내려가면서 감각이 변한다. fig. 6-21는 여러 가지 수준의 (피부절)

감각신경지배를 제시한다. 경추3번 척수의 상해는 머리의 꼭대기부터

목까지 오로지 신경지배를 가진다. 흉추 3번에서 전체상지와 가슴은,

액와(axillar)와 같은 높이로 신경이 나온다.

요추3번의 상해는 대략 중부허벅지의 높이에 불규칙한 모양으로

신경지배를 보인다.

 

자율신경반사부전증(autonomic dysreflexia) 또한

반사성 이상항진(hyperreflexia)으로 알려져 있으며.

 흉추10번 이상에서 척수손상과 관련된 심각하고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으로, 흉추 6번 이상에서는 부상이

있는 사람은 가장 취약하다.

대개 팽창한(distended)방광과 같은 부상의

수준 아래의(below) 유해한 자극에 의해 유발된다.

심각한 두통, 갑작스러운 과긴장, 얼굴홍조, 지나친 발한, 닭살,

고혈압 같은 위험한 수준의 증상이 나타난다.

곧 관리 못하면, 심장마비(stroke)나 죽임에 이른다.

 

신경총 형성(plexus formation)

 

흉추신경을 제외하고, 척수신경의 전지(anterior rami)는 총집합체이고

또는 신경총이라는 네트워크를 형성해 가지를 늘어뜨린다.

세 가지의 신경총이 있다.(Fig. 6-19 보기)

 

1. 경 신경총은 척수신경의 경추 1번에서 경추4번까지의

목 근육들을 신경지배한다.

2.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경추 5번에서 흉추1번을 걸쳐 신경분포하여

상지의 근육들을 지배한다.

3. 요천골신경총은 요추1번에서 천골5번까지 분포해 하지의 근육들을 지배한다.

a. 요추부, 요추1번에서 요추4번까지, 허벅지의 대부분을 지배한다.

b. 천골부, 요추5번에서 천골3번까지, 발과 다리의 근육들을 대부분 지배한다.

 

 

경신경총(cervical plexus)

 

첫번째 4개의 경추신경(C1~C4)의 전지(anterior rami)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경신경총을 형성한다(fig. 6-19 보기). 이 신경총(plexus)

이 글에서 가려진 몇 개의 근육만이 경신경총부터 그 신경지배를 받기

때문에 자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경추2번에서 흉쇄유돌근으로 가는

가지가 있고, 경추3번과 경추4번에서 나오는 가지가 승모근에 신경을

공급한다. 견갑거근은 경추3번에서 경추5번을 통해 나온 신경지배를 받는다.

전사각근은 경추4번에서 나온 신경의 재배를 받고, 중사각근은

경추3번과 4번의 신경지배를 받는다. 경신경총 중 가장 중요한 신경은

경추3번에서 5번까지의 가지에 의해 형성된 횡격막에 신경을 전달하는

횡격막신경(phrenic neve)이다.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

 

상완신경총은 척수신경의 경추5번과 흉추1번의 전지에 의해 형성된 신경총이다.

이 신경총은 5개의 주요 말초신경으로 끝나기 전에 몇 번 씩 모이고 분리된다.

                                                      대(cord), 구획(division), 몸통(trunks), 뿌리(root)로 구성되고 네트워크로

                                                               정렬되어 마지막으로 말초신경 화 된다

 

                                                 

 

 

                                                                              (fig. 6-23, 상완신경총의 조직도, 신경의 뿌리부터 말초신경까지,

                                                                                                   작은 감각과 운동신경은 생략되었다. )

 

5개의 뿌리는 경추5,6,7,8,흉추1번의 전지를 이룬다.

이들 뿌리는 3개의 몸통과 합쳐진다.

3개의 몸통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를 위해 명명된다.

상부 몸통은 경추5번과 6번에서 나온다.

중부 몸통은 경추7번에서 나온다.

하부 몸통은 경추8번과 흉추1번에서 나온다.

 

                         

 

각각의 몸통은 앞쪽과 뒤쪽의 구획(division)으로 갈라지며,

서로 상대적인 위치를 위해 명명된다.

다음에는 세 개의 대(코드)가 있는데, 액와동맥(AXILLARY ARTERY)과의

관계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 다양한 몸통 구획에 들어가 형성된다.

외측대(코드)는 상부와 중부의 몸통의 전구획에서 나온다.

후대(코드)는 모든 세 개의 몸통의 후구획에서 발생하며,

 내측대(코드)는 하부몸통의 전구획에서 나온다.

 

 

신경총의 마지막 신경을 형성하는 대(코드)의 가지인 다섯 개의 말초신경은 다음과 같다:

 

 1. 근피신경: 외측대로부터

2. 액와동맥: 후대의 가지

3. 요골신경; 후대의 가지

            4. 정중신경: 외측과 내측으로부터

5. 척골신경: 내측대로부터

 

 

이 네트워크의 배열은 학습을 더 어렵게 만들려는 계략이 아니고,

오히려 근육에 하나이상의 수준에서 신경지배를 제공한다.

트라우마나 질병의 경우 아마도 모든 수준의 신경지배가

관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근육은 약해질 수 있지만 완전히 마비되지는 않는다.

대부분은 경우, 이 다섯 가지 말초신경은 상지 근육을 신경지배 한다.

그러나 일부근육은 말초신경의 형성에 비해 상신경총에서 나온 신경으로부터

신경지배를 받는다.

이 가지들은 fig. 6-23에서 나타나있다. 견갑배신경은 경추5번의

앞쪽 가지에서 나와 견갑거근과 능형근을 지배한다.

상견갑신경은 상부몸통에서 나와 극상근과 극하근을 지배한다.

내흉신경은 내측대(코드)에서 나와 대흉근과 소흉근을 지배하고,

반면에 외흉신경은 내측두에서 나와 대흉근에 부가적으로 신경을 제공한다.

견갑하신경은 후대에서 나와 견갑하근과 대원근을 지배한다.

흉배신경은 또한 후대에서 나와 광배근을 지배한다.

상지의 모든 근육은 다음에서 설명한 5개의 말단신경(terminal nerves)

신경지배를 받는다.

 

상완신경총의 말단신경

 

상완신경총의 말단신경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기원하는 것으로부터 척수, 뿌리, 분절(segment)

2.신경지배를 받는 주 근육들

3.주 감각분포

4.신경 손상 후 볼 수 있는 주 운동상해(moter impairment)

 

액와신경(Axillary nerve (fig. 6-24)

 

-척수 분절(segment):   경추C5, C6

-근육신경지배(Muscle inservation):   삼각근(Deltoid), 대원근

-감각신경지배:   삼각근의 낮은 부분을 걸쳐진 외측팔

-임상적인 운동의 마비의 형태: 어깨의 외전상실

                                                어깨의 외측회전의 약화

 

                       

 

 

 

근피신경 (fig 6-25)

 

 

-척수 분절(segment): 경추C5, C6

-근육신경지배(Muscle inservation) :   오구완근, 상완이두근, 상완근

-감각신경지배:   전완의 전외측표면

-임상적인 운동의마비의 형태:   주관절굴곡의 상실약해진 회외

 

 

 

 

요골신경 (fig.6-26)

 

-척수 분절(segment): 경추, C6, C7, C8, T1

-근육신경지배(Muscle inservation) : 상완삼두근, 주근, 상완요골근, 회외근

손목, 손가락, 엄지신전근

 

-감각신경지배: 후부 팔, 후부전완, 후부손의 요골면

-임상적인 운동마비의 형태: 주관절, 손목, 손가락엄지의 신전근 상실

 (일반적으로 손목하수라 칭한다.)

 

    

 

   

      

 

정중신경 Median nerve(Fig.6-27)

 

-척수 분절(segment):   경추C6, C7,8, T1

-근육신경지배(Muscle inservation):   회내근, 요굴측 손목 손가락굴곡근

엄지손가락 대부분의 근육들

-감각신경지배: 손바닥 쪽 엄지,2,3, 4의 반쪽

                         -임상적인 운동의 마비의 형태: 전완의 회내의 상실, 엄지손가락의 대립상실

  굴곡, 외전의상실(원숭이 손가락)

                   

 

                                                    

정중신경

 

 

 

척골신경 ulnar nerve(Fig. 6-28)

 

-척수 분절(segment): 경추8, 흉추1

-근육신경지배(Muscle inservation): 척측수근굴곡근, 심지굴곡근(내측반)

골간근, 4,5번 충양근

-감각신경지배 : 4,5번 손가락 (내측 면)

-임상적인 운동의 마비의 형태: 척골측 손목의 이탈 상실

                          손목,손가락 굴곡의 약화,

                                                  4,5번 손가락 굴곡의 약화(교황님의 축복)

                        

 

 

척골신경

 

 

요천골신경총 (Lumbaosacral plexus)

 

                     

 

  

 

요천골신경총은 요추1번에서 천골3번까지의 전지(anterior rami)

의해 형성된다.(fig. 6-29) 이것은 주로 허벅지에 신경을 전달하는

요추신경총(lumbar plexus, 요추1번에서 요추4번까지)과 발과 다리의

 근육에 대부분 신경을 전달하는 천골신경총(sacral plexus, 요추5번에서 천골3번까지)

으로 분리된다. 왜냐하면 약간의 하지의 근육들은 이 두 가지

신경총을 다 받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요천골신경총만 다룰 것이다.

요천골신경총은 상완신경총처럼 신경이

더 많이 분리되거나 합쳐지기는 않는다.

각각의 윗가지와 아래가지로 나누어진 8개의 뿌리를 가지고 있다.

요추 3번은 오직 뿌리만 가지고 나누어지지는 않는다. 이 가지들의 대부분은

후 구획(division)과 전구획으로 나누어진다. 이 구획들은 6가지

주 말초신경으로 형성되어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합쳐진다.

요추1번의 상부가지는 장골하복신경과 장서혜신경으로 나누어진다.

요추1번의 하부가지와 요추2번 상부가지는 음부대퇴신경을 형성한다.

이러한 3개 신경들은 선천적인 주 감각신경이다.

그러나 상세하게 논하지는 않을 것이다.

요추2,3,4번의 전구획(anterior division)은 폐쇄신경(obturator nerve)

형성한다. 같은 뿌리의 후구획은 대퇴신경을 형성한다.

요추4번에서 천골1번까지의 후구획은 상둔신경을 형성한다.

요추5번에서 천골2번까지의 후구획은 하둔신경을 이룬다.

요추4번에서 천골3번까지의 가지는 좌골신경을 만든다.

좌골신경은 총집(common sheath)에 의해 총비골신경과 경골신경으로 실제로 합쳐지고,

이 두 신경은 무릎 위에서 분리된다.

총비골신경(common peroneal nerve)은 요추4번에서 천골2번에서 나온다.

 반면에 경골신경(tibial nerve)은 요추4번에서 천골3번까지의 전구획에

의해 이루어진다. 만약 이 모든 것들이 혼란스럽다면,

fig 6-29에서 6-34의 도해는 확실하게 이해시켜줄 것이다.

이 요약은 상완신경총에 제공된 것과 유사하다.

 

 

요천골신경총의 말단신경

 

Terminal nerve of the lumbosacral plexus

 

 

상지의 신경처럼, 하지의 신경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기원하는 것으로부터 척수, 뿌리, 분절(segment)

2. 신경지배를 받는 주 근육들

3. 주 감각분포

4. 신경 손상 후 볼 수 있는 주 운동 상해(moter impairment)

 

대퇴신경 femoral nerve (fig. 6-30)

 

-척수 분절(segment): 요추2, 3, 4

-근육신경지배(Muscle inservation): 장요근, 봉공근, 치골근, 대퇴사두근

-감각신경지배: 전, 내측허벅지, 발과 다리의 내측

-임상적인 운동의 마비의 형태: 고관절 굴곡의 약화, 슬관절 신전의 상실

 

 

 

 

 

 

 

폐쇄신경 obturator

 

 

 

 

neve (fig. 6-31)

 

- 척수 분절(segment):   요추2, 3, 4

- 근육신경지배(Muscle inservation):   고관절 내전근, 외폐쇄근

 

-감각신경지배:   내측 허벅지의 중간부위

-임상적인 운동의 마비의 형태: 고관절 내전의 상실,

                                             고관절외회전 약화

 

                            

            

 

 

좌골신경 (sciatic neve, 경골신경과 총비골신경으로 구성된다.)(Fig 6-32)

 

 

 

-척수 분절(segment) 요추4, 5, 천골1, 2, 3

-근육신경지배(Muscle inservation) 슬굴곡근(hamstring)

-감각신경지배 없음

-임상적인 운동의 고관절신전근의 약화, 슬관절굴곡 상실

마비의 형태

                         

경골신경 (tibial nerve, , 외측 족저신경으로 나누어진다)(fig.6-33)

 

 

 

-척수 분절(segment): 요추4, 5, 천골1, 2, 3

-근육신경지배(Muscle inservation): 슬와근, 발목족저굴곡근, 후경골근

발내재근,(,외측 족저)

-감각신경지배: 후외측다리, 외측발

-임상적인 운동의마비의 형태: 발목관절의 굴곡상실,

                                                       발목관절의 내번 약화, 발가락 굴곡상실

 

 

총비골신경 (common peroneal nerve, 심층과 천층비골신경으로 나눠진다)

(fig. 6-34)

 

 

 

-척수 분절(segment) 요추4, 요추5, 천골1번과 2

-근육신경지배(Muscle inservation) 비골근(대부분 천층비골근)

발가락신전근(심층비골근)

전경골근(심층비골근)

-감각신경지배 발과 다리의 전외측면

-임상적인 운동의 발목관절의 배측굴곡상실(발 하수)

마비의 형태 발가락신전과 발목관절 외번 상실

 

 

       

 

        

일반적인 말초신경 병리학(common peripheral nerve Pathlogies)

 

일반적인 근육 마비 패턴은 관련된 말초 신경과 부상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지에선 어브의 팔시(palsy)”는 아기의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

대한 견인 부상으로, 이것은 가장 일반적으로 어려운 출산 중에 발생한다.

 영향을 받은 팔은 팔꿈치가 신전되고 전완이 회내되고, 손목이 굴곡된 상태에서

어깨가 신전되고 내회전이되어 함께 늘어진다. 그것은 때때로

 웨이터의 팁 요구 모습(waiter's tip positive)"로 알려져 있다.

버너또는 스팅거증후군은 머리나 어깨에 일격을 가하여

상완신경총에 가해진 스트레칭이나 압박을 받았을 때 일어난다.

 이 증상은 축구선수나 레슬링선수, 체조선수들에게 잘 일어나는 증상이다.

 대개 수명이 짧고, 잔여효과는 없다.(produces no residual effects)

즉시적인 타는 증상, 따끔따끔한 마비 증상이 목으로 방사되고, 감각 없음,

그리고 팔에 가벼운 마비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들은 몇 분 안에

 없어지거나, 목의 근육의 통증과 어깨 근육의 약화 일지라도

며칠 동안 증상은 나타난다.

익상 견갑골(scapular winging)은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

 부상이 전거근 근육을 약화시키거나 마비시켜 견갑골의

내측연과 늑골 으로부터 멀어질 때 발생한다.

액와신경의 부상은 견관절의 외전을 어렵게 하고, 반면에 팔꿈치 굴곡은

근피신경 병변으로 인해 매우 약해질 것이다.

손목하수(Wrist drop, 손목신전근의 상실) 및 물건을 잡아 놓은 능력의 약화는(손가락 신전근)

중상완골의 골절로 인해 생긴 위쪽 요골신경의 상해에 의해 일어난다.

정중신경의 상해는 엄지와 손목굴곡의 약화를 만들고, 엄지 대립의 상실은

원숭이는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맞닿을 수가 없어 원숭이 손(Ape hand)”

으로 부르기도 한다. 엄지와 2, 셋째 손가락을 굴곡시키지

못하는( 4,5번째는 굴곡된) 모습을 교황님의 축복(pope’s blessing)

주는 모습으로 표현한다. 수근관(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의 수근관(carpal tuneel)을 지나가는 정중신경이 압착되면서 발생한다.

날짐승발톱(claw toe)은 척골신경 손상으로 인한 내재근의 상실로 발생한다.

근위지(proximal phalnges)가 과신전되며 중부와 말단지가 과도하게 굴곡되어 있다.

하반신에서 대퇴신경의 병변은 대퇴사두근의 마비를 일으킨다.

좌골신경통(Sciatica)은 좌골신경이 압박을 받아 뒤

허벅지와 발로 전이통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허벅지 높이에서 이 신경의 압박은 슬굴곡근 그룹과 무릎아래의

 모든 근육을 마비시킨다. 총비골신경의 상해는 발 하수(Foot drop)

일으킨다. 비골두의 골절로 깁스를 했을 때 비골두의 위의 표면을

지나는 총비골신경이 깁스에 압박되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