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해부생리

끝 느낌 End feel

 

끝느낌 End feel

 

끝느낌은 수동적인 관절운동범위의 끝에서 가벼운 압력을 줄 때,

느낌을 본질을 평가하는 주관적인 느낌을 말한다.

이 방법은 ‘Cyriax'(1983)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그는 수동적인 동작 동안 검사자의 손이 어떻게 느껴지는지의 끝느낌(end feel)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끝느낌에는 세 가지 큰 분류가 있다.

골격(bony), 활액낭(Capsular), 텅빈,병적(empty)인 느낌 등이 있다.

 

1) 골격끝느낌은 관절운동에 대한 딱딱하고 갑자기 끝나는 제한적 범위로 특징지어진다.

 이 특징은 골격이 관절운동의 끝에서 뼈에 닿을 때 일어난다.

 이것을 딱딱한 끝느낌이라고도 부른다.

정상적인 말단 팔꿈치의 신전이 좋은 예이다.

 

2) 활액낭끝느낌은 딱딱하고 가죽 느낌 같은 그런 운동의 제한으로

특징 지어진다.

이 특징은 활액낭에 의해 제한되는 운동범위를 가진

견관절의 완전한 관절운동범위에서 일어난다.

 

3) 텅빈,병적인끝느낌은 관절운동 범위의 기계적인 문제에

의한 제한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특징은 억제된 연부조직(soft-tissue)의 완전한 파열에

의해 통증으로 인한 제한이다.

병적인 끝느낌은 좋지 않은 문제를 가리킨다.

 

이 세가지 추가적인 특성은 관절운동범위의 한계를 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관절운동 범위의 끝에서 한번 더 튀는(rebound) 것은 스프링 막힘(spring block)이라 한다.


이러한 현상은 연골의 파열에 의한 관절의 내적장애(derangement) 때문이다.

 

증상 없이 제한된 관절운동범위는 연부조직의 추정(Soft tissue approximation)이라 한다.

이 현상은 인체의 어느 부분의 연부조직이 더 많이 움직일

때 방해에 의해 일어난다. (eg, 주관절 운동 끝부분에서 일반적으로 일어난다)

 

근육지지(Muscle guarding)은 운동 중 반사 근육의 경련이다.

이것은 급성상해에 의해 일어나는 보호반응으로 여겨진다.

근육의 촉진은 경련에서 근육의 문제를 드러낸다.

 

정상적인 끝느낌을 촉진하고 정상적인 끝느낌과 변화를

구별하는 능력은 관절운동범위 동안 관절을 보호하는데 중요하다.

   

1. 정상적인 최종느낌은  부드럽다(soft), 딱딱하다(firm), 단단하다(hard)

분류한다.

 

- 부드럽다: 근육이 정상적으로 발달된 무릎이나 팔꿈치의

굴곡과 같은 부드러운 조직의 접근이나 신전

 

- 딱딱하다: 상완골이나 대퇴골의 내측회전과 같은 관절낭이나 인대의 신전

 

- 단단하다: 팔꿈치의 신전과 같은 뼈와 뼈의 마추침

 

2. 비정상적인 끝느낌은 6가지로 구분된다.

 

- 덜 탄력적(less elastic): 흉터조직이나 짧아진 결합조직

 

- 더 탄력적: 근긴장의 증가나 짧아진 근육 때문의 느낌

 

- 스프링같은 정지(Springly block): 찢어진 반월판 때문에 생기는

되튀김(rebound)이 보이거나 느껴지는 내부 이상

 

- 텅 비어 있다(Empty)병적: 급성활액낭염, 관절외 농양, 극심한 통증을

느끼며,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관리사는 물리적인 정지를

느끼지 못한다.

 

- 너무 이르다(premature): 류마티스관절염이나, 골관절염 또는

수축된 인대나 관절안에서처럼 정상정지가 일어나기 전에 일어난다.

 

- 너무 늦다(Extened): 불안정성이나 과운동에서와 같이 정지 정지 후에 일어난다.

 

3. 그외 끝느낌

 

- 물컹하다: 부종의 느낌

 

- 가동범위 양끝에서 탄력스프링 같은 제한이 있음: 근막 단축

 

- 가동 범위의 비대칭감소, 운동초기에는 저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자유가동범위 끝에서 스프링 같은 느낌: 근육의 과신장

 

- 만성적인 제한, 제한 장벽 가까이에서 급속한 긴장, 증강

과긴장된 근육보다 더 단단한 느낌: 섬유증

 

- 정상보다 적은 범위에서 갑작스럽게 멈추고 단단하고

비탄력적인 느낌: 뼈 구조의 변화. 관절의 비대

 

- 갑자기 경련이 생기거나 일관성 없는 대칭 감각이

나타나고 긴장이 증가: 통증

 

- 해부학적 자세에서 장벽에 이르러서야 약한 저항감: 과가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