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해부생리

관절계 제 3장 번역서

 

Chapter 3 관절계 articular system

 

                   관절의 종류

                   관절의 구조

                   일반 병리적 용어

                   면과 축


                   자유도 Degrees of Freedom


    


관절은 두 뼈를 이어준다. 관절은 여러 가지 기능을 있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관절의 운동이다. 관절은 또한 체중지지를

담당하여 안정성을 유지시킨다. 이 안정성은 주로 고관절을 구성하는

뼈 모양 때문일 수 있다. 또는 슬관절(무릎), 어깨()관절에서 보이는

연부조직 때문이기도 하다. 관절은 연골에 영양을 주여

관절을 잘 미끄러지게 하는 활액이 포함한다.

 

                      

관절의 종류 Types of joints

 

견관절에서 처럼 관절은 큰 가동범위를 가지고 반면에 흉쇄골관절은

가동 범위가 거의 없다. 모든 차이점이 그렇듯이 이율배반성이 있다.

가동범위가 큰 관절은 안정성은 약하고, 반대로 작은 가동 범위를 가진

관절은 괜찮은 안정성을 가진다. 종종 동일한 관절을 설명하는데 두 개

이상의 용어를 사용한다. 이런 용어들은 관절 가동범위의

 양과 구조를 설명하는 경향이 있다.

 

섬유성 관절은 두 뼈 사이의 섬유성 얇은 골막을 가진다.

 이 것은 두개골의 봉합(sutures)에서 볼 수 있다.

섬유성 관절은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부동(유합) 관절(synarthrosis),

인대결합(Syndesmosis), 관절유합(gomphosis)이 그 것이다.

부동관절(synarthrosis) 또는 봉합관절(suture joint)은 두개골 봉합선에서

볼 수 있듯이 두 뼈 사이의 섬유성 골막의 얇은 층을 가진다.

 뼈의 양 끝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Fig. 3-1 A, 부동관절, 봉합 type)

 

뼈를 사이에 기본적으로 움직임이 없는 관절의 종류도 있다.

이 종류의 관절은 모양과 관절의 힘을 제공하는 목적이다.

또 다른 섬유성 관절은 인대결합(syndesmosis) 또는

인대관절(ligamentous joint)이다.

 이곳에는 관절은 잡아주는 내부 막과 인대같은

섬유성 조직이 많이 포함된다.(Fig. 13.1B 인대관절)

늘어나거나 작은 뒤틀림(twisting)에도 이 관절은 반응을 한다.

발목의 말단의 경비골관절과 요골척골말단의 관절이 이러한 예를 보여준다.

섬유 관절이 세 번째 유형은 관절 유합(gomphosis) 으로 이 의미는

그리스어로 볼트 결합이 이라 한다. 이 관절은 상악과 하악의

(치아)와 이의 소켓(socket)의 벽 사이에서 존재한다. (Fig. 3-1c 섬유관절)

 

연골관절(cartilaginous joint)(Fig.3.2) 두 뼈 사이에 섬유 연골과

 히알린 (hyaline)연골을 가지고 있다. 척추 사이의 섬유성 연골(디스크)

이루어진 뼈와 뼈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척추 관절이 좋은 예이다.

첫 번째 흉늑골관절(sternocostal joint)는 히알린 연골에 의해 직접 연결되는 예이다.

연골 관절(cartilaginous joints)은 약간의 압박(compression) 뒤틀림(twisting)

굴곡 때문에 그들을 반가동관절(amphiartwoainal joint) 라고도 부른다.

동시에 이 관절들은 큰 가동의 안정성을 준다.

 

활막성 관절(synovial joint) (Fig. 3.3) 양 뼈 끝 사이에 직접적인 결합은 없다.

대신에 활액(synovial fluid) 가득 차 있다. 캡슐(활액막) 안에 캡슐의

바깥층은 관절을 잘 이어주는 강한 섬유성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내부층은 활액을 분비하는 활막(synocial membrane) 으로 구성된다.

관절 표면은 매우 부드럽고 히알린(유리) 또는 관절연골이라는 연골로 덮혀 있다.

 

활막성 관절은 또한 가동관절(diarthrodial joint)이라 한다.

자유로운 움직임 때문에 그러하다. 이 관절은 큰 가동범위로 인하여

다른 관절보다 안정성은 적다.

(도표 3-1) 관절의 종류를 보여준다.

(도표 3-2)는 축의 이름, 관절의 모양, 관절의 가동범위의 종류에 따라

가동관절의 더 많은 분류를 준다.

 

무축성 관절(nonaxial joint) 은 각 운동 대신에 직선 운동을 한다.(Fig. 3-4)

관절 표면은 편평하고 다른 곳을 드는 운동 대신 미끄러지는(glide) 운동을 한다.

 이 동작은 손목뼈의 수근골 사이에서 일어난다. 대부분의 다른 유형의

 가동관절 운동과는 달리 무축성관절 운동은 다른 운동 다음으로 일어난다.

예를 들면 당신은 주관절(팔꿈치)를 굴곡과 신전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손목뼈 그 자체를 움직이는 것은 불가능하다.

손목뼈 운동은 수관절(wrist joint) 이 굴곡, 신전, 회전, 내전 할 때 일어난다.

 

(1)축성 관절(uniaxial joint)은 경첩(hinge)처럼 한축을 중심으로

평면으로 움직이는 각 운동을 한다. 주관절 상완척골관절은 오목한

모양의 척골에 맞는 상완골의 볼록한 모양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이 운동은 주로 시상면(sagital plane)에서 단지 굴곡과 신전만 일어난다.

그 외 다른 운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 발의 지간관절(interphalangeal joint)

경첩 관절이다.(슬관절은 경첩관절이지만 이 예는 명확해야한다).

마지막 몇 도의 신전 하루 동안 대퇴골은 경골에서 내측회전(medial rotation) 한다.

이 회전은 능동적 운동(active motion)이 아니라 특정 기계적 기능의 결과이다

  게다가 슬관절은 최고의 일축성 관절로 분류된다.

왜냐하면 한축(axis)

도는 능동적 운동이기 때문이다. 또한 주관절에서의 요골척골 관절은 또

다른 일축성 관절의 운동을 보인다.

요골두는 전완(forearm)의 회내(pronation) 와 회외(supination)하는 동안

고정된 척골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Fig. 3-6 차축관절)

이 차축 운동은 장축 주위를 수평면으로 운동한다. 경추의 환추와

축추 위에서 회전하는 환축추 관절에서 보인다.

1경추인 아틀라스(환추) 는 머리를 잡고 제 2경추인 아식스(축추)

치돌기관절(odontoid process)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머리를 회전하게 만든다.

 

(2)축 관절 운동(biaxial joint motion)은 서로 다른 두 방향에서 운동이

일어나고 손목관절(wrist joint)에서 볼 수 있다. (Fig. 3-7)

과상관절의 굴곡과 신전은 수평축에서 일어나고,

요골과 척골의 이탈(deviation)은 시상면에서 일어난다.

그들의 모양 때문에 과상 (condyloid)와 타원(ellipsoid) 관절이라는

부르는 중지관절(metaphalanyeal joint)에서 일어나는 양 방향 운동이다.

엄지손가락의 수중수관절(carpometacarpal) 두 축 이지만

과상관절과는 다소 다르다. 이 관절은 갈비뼈의 관절표면은

한 방향은 오목(concave)이고 다른 방향은 볼록 형(convex)이다.

골격은 안장에 말을 단 것처럼 뼈들이 맞 닿아있다.

그래서 이 관절은 안장관절이라고 부른다.(Fig. 3-8 안장관절

 수중수관절은 약간의 회전을 가져 과상관절과는 다르다.

손목골격에서 운동처럼 이 회전운동은 저절로 일어나지 않는다.

만약 당신이 당신 엄지손가락을 외전, 굴곡 없이 회전한다면

그것을 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여전히 회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엄지의 두덩(pad)가 내전되었을 때 가리키는 방향을 본다.

엄지를 잡고 구부리고 두덩(pad) 가 가리키는 방향이

 90도 변경되었음을 안다. 이 회전은 능동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회전은 관절의 형태 때문에 일어난다. 게다가 엄지의 수중수관절

회전이 허용되기 때문에 실제 이(2)축 관절(biaxial joint)

아니지만, 능동적인 동작이 두 축 주위에 있기 때문에 이 범주에 가장 잘 맞는다.

 

(3)축 관절(triaxial joint)은 가끔 다축관절이라 고도 한다.

 운동은 3(three axes) 모두에서 움직임이 활발히 발생한다. (Fig.3-9 구상관절)

고관절(hip)과 견관절(shoulder) 전면 축에서 굴곡과 신전이 일어나고,

시상축에서는 외전과 내전이 일어난다. 수직축에서는 회전운동이

일어난다. 명백하게 구축관절은 다른 관절종류보다 더 많은 운동이 일어난다.

(3)축 관절은 구상관절(ball & socket) 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고관절에서 대퇴골두의 공 모양과 고관절구의

오목 들어간 소켓(socket)이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관절 구조 joint structure

 

활막성관절(synovial joint)은 많은 다른 구조들과 상호관계가 있다.

(Fig. 3-10 활막성관절, 수직면)

첫째. 뼈는 보통 두 개이고, 서로 잘 어울린다. 약 관절에서 허용되는

 운동의 양과 그 움직임의 방향은 뼈 양 끝의 모양과

각 뼈의 관절 표면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견관절은 관절와 (어깨 소켓) 위 뿐만 아니라
상완골두의 대부분의 관절 표면은 매끄러움을 가진다
.

결과적으로 견관절 운동은 모든 방향에서 큰 가동 범위를 갖는다.

반면에 슬관절 동작은 매우 크지만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대퇴골의 말단 끝의 검사에서, 흔들의자의 로커 표면과

매우 유사한 두 개의 능선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경골의 근위 끝은 그 들 사이의 높은 지역(과간 돌출)을 가진 두 개의

관절 표면을 가진다. 이 관절 표면은 큰 가동 범위를 가지지만,

흔들의자처럼 한 방향으로만 움직인다.

관절의 두 뼈 사이에는 섬유성결합 조직인 인대(ligaments)

의해 지탱하고 인대 유지된다.

 

인대(ligament)는 또한 연골, 근막 또는 어떤 경우에는 근육에 대한 정지된다.

인대는 유연하나 탄력성은 없다. 이 유연성은 관절 운동을 얻기 위해 필요하지만.

 뼈들이 서로 가깝게 유지되고 관절에 약간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비 탄력성이 필요하다. 다른 말로는 인대는 과도한 움직임을

막아준다. 인대가 관절을 둘러쌀 때 이것을 활액낭연골이라 한다.

모든 활막성관절은 뼈의 관절 표면을 보호하고 관절 주위를

감싸는 관절활액낭 (joint capsule)이 있다. (Fig. 3-11 관절활액낭)

견관절에서 혈액낭은 완전히 관절을 감싸고 견갑골관절와에 대항하여

상완골의 골두를 제자리에 유지하는데 부분적 빈자리를 채워준다.

 다른 관절에서는 완전하지 채워지지 않는다.

 

두 종류의 층의 활액낭(capsule) 이 있는데, 바깥 층은

관절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섬유성 조직으로 구성되고

이 층은 대개 인대에 강화된다. 내층(inner layer) 두껍고

 활액을 분비하는 혈관성 결체조직인 활막(synocial membrane)으로 채워진다.

활액은 두껍고 짧은 액체로 관절연골을 윤활시키는 달걀 흰자 정도의 액체성이다.

이 물질은 마찰을 줄이고 관절 운동을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유지하고 도와준다.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 연골에 영양을 공급하는 큰 자산이다.

 

연골(cartilage)엄청난 긴장과 압력을 견디게 하는 치밀한 섬유성 결체조직이다.

기본적으로 3가지 다른 종류의 연골이 있다. 히알린(hyaline)

연골 또한 관절연골이라 한다. 반대쪽 뼈의 끝을 덮는다.

모든 활막성 관절의 매끄러운 관절 표면을 제공 하고 활액을 도와준다.

히알린 연골 신경과 혈관이 없어 활액으로 부터 영양을 꼭

공급받는다. 게다가 상해가 오면 재생이 되지 않는다.

섬유성연골(fibro cartilage)은 충격흡수 작용을 한다.

특히 무릎과 척추의 체중 지지하는데 중요하다.

 슬관절에서 반월형의 연골인 반월판(menisci)

경골 관절표면의 양 내. 외측에 편평판 모양으로 자리 잡는다.

척추 뼈 사이의 뼈를 추간판 섬유로 디스크(disk) (Fig. 3-2. 섬유성 연골)라 한다.

치밀 조직으로, 이 디스크들을 체중 지지의 힘으로부터 상체로

올라가는 전달적인 층격의 엄청난 양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다.

상지에서는 섬유성연골의 디스크는 쇄골과 흉골 사이에 있다.

이것은 팔을 외측으로 최대한 펼칠 때 쇄골에서 흉골을 따라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 섬유성연골은 흉쇄골 관절의 탈구를 막는다.

또한 관절의 가동 범위를 허락한다. 흉골의 한쪽 끝과

쇄골의 한 쪽에 끼워진 디스크는 마치 스윙 도어(swing door)’의 경첩(hinge)

같아 양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중 걸쇠 경첩(double-hung hinge)”

견봉(acromion) 의 끝쪽이 상승하고 놀릴 때 쇄골 부분이

흉골 위에는 움직이도록 한다. 결과로 섬유성연골 두 세트의

움직임을 허용하면서 관절을 두 개의 강 (cavities)로 나눈다.

관절에서 섬유성연골의 다른 기능이 있다.

어깨 섬유성연골은 (labrum)이라 하는데 얇은 견갑골 관절와를

깊게 하여 상완골 두른 고정시키는 소켓을 만든다. (Fig.3-12 )

섬유성 연골 또한 두 뼈를 사이 공간을 채운다. 만약 손목을 검사하면,

척골이 요골을 따라 손목뼈까지 확장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공간(gap)에는 공간 필러(filler) 역할을 하고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척골과 손목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작은 삼각형 디스크가 있다.

 

연골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탄성연골은 구조의 모양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것은 외이도(external ear)와 청각관(auditory tube)에서 보인다.

또한 말하는데 중요한 동작을 하는(lanynx)에서로 발견된다.

근육은 관절을 움직이게 하는 수축력을 제공한다.

게다가 근육들은 관절이 움직일 때 관절을 신전시킨다.

근육은 부드럽고 뼈에 직접적으로 정지되는 않는다.

 힘줄(tendon)은 뼈에 근육을 연결시킨다.

상완이두근 장두의 힘줄은 실린더 형이고 회전근개

근육은 편평한 띠 이다. 힘줄은 건초(tendon sheath)에 쌓여있다.

이러한 섬유 소매는 힘줄이 통과하거나 뼈 사이를 통과할 때처럼

압력이나 마찰에 노출 될 때 힘줄을 에워싸고 있다.

손목 위를 지나가는 힘줄은 모두 힘줄건초집을 가지고 있다.

이 건초는 그들의 내부에서 분배된 윤활액에 의해 윤활된다.

 

건막(apponearosis) 넓고 편평한 힘줄 성 시트(sheet)같다.

건막은 근육이 뼈에 정지하는 몇 곳에서 보인다.

크고 힘센 광배근은 건막으로 몇 개의 뼈들의 큰 부위를

걸쳐 한쪽 끝에 정지된다. 앞 복부 벽의 건막은 큰 힘이

필요하지만 뼈들이 없는 곳에 근육의 정지점으로 활용된다.

복부근육처럼 양 외측에서 중앙선으로 진행될 때

근육들은 백선(linea alba) 라는 건막에 정지된다.

 

대부분의 관절에서는 패드처럼 생긴 작은 주머니 모양의 점액낭(bursae, 활액낭)이라

부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점액낭은 뼈가 돌출된 곳에 걸쳐 힘줄 밑에 있어 과도한 마찰이 일어나는 곳에 있다.

(Fig. 3-13 점액낭)

이 낭들은 활액막과 맑은 액체로 채워져 있다.

움직임 사이에 마찰을 줄어주는 것이 목적이다.

예를 들면 어깨의 삼각근은 견봉돌기 위를 직접적으로 통과한다.

 반복적인 움직임은 근육조직을 과도하게 찢어지게 한다.

그러나 삼각근하 점액낭은 견봉돌기와 근육 사이에

있어 지나친 마찰을 막고 상해를 줄여준다.

이와 같은 배열은 주관절의 주두돌기에 정지되는

상완삼두근의 힘줄에서도 찾을 수 있다.

슬관절 같은 양간의 관절에도 점액낭이 많다.

 

점액낭(bursa)에는 두 종류가 있다.

생긴 낭(natural bursa)”생겨진 낭(acquired bursa)”

일반적으로 과도한 마찰을 일으키지 않는 부위에서 점액낭이 발전되었고,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 부위는 과도한 마찰이 일어나는 곳이 되었다.

사람의 셋째 손가락의 외측의 글씨 쓰는 손에 점액낭이

잘 일어나는데 이것을 학생의 점액낭이라 한다.

왜냐하면 학생들의 잦은 필기와 글쓰기에 그 원인이 생긴다.

이 점액낭은 이러한 일들을 멈추거나 줄이면 점차 사라진다.

 

도표 3-1 관절의 분류 

종류

운동

구조

부동관절

없음

섬유성- 봉합

두개골

인대결합

조금

섬유성 - 인대성

경골,비골 말단

관절유합

없음

섬유성 - 볼트결합

상악 하악의 치아

반가동관절

약하다

연골성

치골결합. 디스크

활막성관절(가동)

많다

활막성

고관절. 주관절,

슬관절

   

 

 

 

 

 

 

 

도표 3-2 활막성 관절의 분류

 

축의 이름

관절 모양

관절 운동

무축성

불규칙 (평면)

미끄러짐

중수골

슬관절, 주관절(팔꿈치)

(1)축성

 

경첩

자축

굴곡 신전

회전

 

환추 축추 신골 척골

(2)축성

과상(둥근)

 

 

안장

굴곡 / 신전

외전 / 내전

 

굴곡 / 신전

외전 / 내전

회전(부속)

손목, 중지골

 

엄지손가락

/ 수중수관절

 

(3)축성()

구상 관절

굴곡 / 신전

외전 / 내전

회전

견관절 / 고관절

 

 

일반적인 병리학 용어 comom pathological terms

 

골절(fracture)부러짐(broken)은 같은 말이다. 골절은 외부압력이나

병적으로, 직접적으로 힘에 의해 뼈의 불록한(cortex)곳에 연속성 골절을 말한다.

이런이에기 골절은 약목관절(green stick, 뼈의 안쪽이 골절되어 한쪽으로 구부러짐)’

또는 골단판에 생긴다. 노인들에게 골절은 고관절의 상부 대퇴골의 그것이다.

원인은 넘어질 때 발생하거나 손을 뻗은 손으로 넘어짐으로 인해 상지에 생기는 경우가 있다.

골절은 종류(ie,폐쇄된), 골절선의 방향(ie 수평),

또는 골격의 부분자세에 의해 종종 묘사된다.

탈구(dislocation)는 관절의 두 관절면이 완전히 제 위치에서

 벗어난 상태를 말한다.

 관절주위를 둘러싼 활액낭의 부분들이 찢겨진 상태를 말하기도 한다.

아탈구(subluxation)는 관절의 부분적인 탈구이고, 대개 시간을 걸쳐 일어난다.

 일반적인 예로는 어깨의 아탈구는 사람들이 뇌졸중(stroke)을 앓고 난 후에 발생이 잦다.

근육마비와 팔의 무게는 어깨 관절 아탈구를 천천히 만든다.

 

염좌(Sprain)는 인대의 섬유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찢어 진 것을 말한다.

가벼운 염좌는 기능 상실 없이 몇 개의 섬유가 찢어진 상태이다.

중급 염좌는 다소 기능이 상실되고 인대 섬유가 부분적으로 찢어진

상태이다. 심각한 염좌(severe sprain)은 기능은 완전히

상실되고 완전한 찢어짐(파열)이 일어난 상태를 말한다.

염좌는 근육섬유의 과스트레칭을 말하기도 한다.

염좌와 마찬가지로 접지름(strains)

심각성 정도에 따라 등급을 매긴다.

(* 일반적으로 발목, 관절 등에 삔다는 것은 Sprain을 쓴다.

 Strain은 근육을 삐다(늘어나다)와 근육에 사용한다)

 

건염은 힘줄에 염증이 생긴 것이다. 건초염(Tenosynovitis)은 힘줄집(Sheath)

염증을 말한다. 이 증상들은 반복적인 과사용으로 기인하고 상완이두근의

장두의 힘줄과 손의 굴곡근 힘줄에 흔히 자주 일어난다.

 

활막염(Synovitis)은 활막에 염증을 말하고,

점액낭염(bursitis)은 낭(bursa)에 염증 때문이다. 활액낭(capsulitis)

 관절낭에 염증을 말한다.

면과 축 Plane & Axes

 

작용면은 인체가 분할 된 고정된 기준선이다. 3가지의 면이 있는데

각 면은 다른 두 평면에 직각 또는 수직면이다. (Fig. 3-14. 인체의 면

(A) 시상면(정중) (B) 관상면

(C) 수평면

 

시상면(Sagital plane)은 안체를 앞과 뒤, 왼쪽과 오른쪽으로 지나가는 가상의 선이다.

 몸통을 수직 벽처럼 지나가는 면을 상상하라, 굴곡과 신전은 시상면에서 일어나는 운동이다.

 

관상면(Frontal plane)은 인체를 앞과 뒤로 나누어지는데

 외측수직선을 지나간다. 또는 관상면(coronal plane)이라고도 한다.

외전과 내전은 관상면에서 운동이 일어난다.

 

수평면(transverse plane)은 인체를 위와 아래로 지나가는 수평선을 말한다.

또는 “horizontal plane” 이라고도 부른다. 회전은 이 수평면에서 일어난다.

인체의 면이 정중선을 지나갈 때 마다 시상면이든, 관상면이든

수평면이든 인체를 동일한 부분으로 분할하기 때문에 기본면(Cardinal plane)을 말한다.

이것들의 기본면은 서로 교차하는 지점이 중력의 중심선이다.

 인체에서 이 중력의 중심선( 무게 중심선)은 두 번째 천골의

약간 앞쪽에 있는 인체의 정중선에서 만난다.

(Fig. 3-15, 중력의 중심선에서 세 가지 기본면과 서로 교차한다)

(Fig. 3-16, A. 시상축, B. 관상축 C. 수직축

 

(axe)은 부분이 회잔하는 관절의 중심을 통과하는 지점이다.

(Fig. 3- 16 인체의 축 (A) 시상축, (B) 관상축 (C) 수직축)

 

시상축은 앞쪽에서 뒤쪽으로 관절을 통과하는 지점이다.

 

관상축은 외측에서 외측으로 관절을 통과하는 지점이다.

 

수직축은 또한 세로축이라고도 한다. 위에서 아래로 관절을 통과하는 지점이다.

 

관절운동은 항상 평면에 수직(직각)인 축을 중심으로 일어난다.

이것을 시작하는 또 다른 방법은 면과 축 주위에서 관절운동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특정한 운동은 항상 같은 면과 같은 축에서 일어난다.

예를 들면 굴곡과 신전 항상 관상면에서 일어난다.

이와 유사한 운동은 요골과 척골쪽 손목의 이탈(deviation)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시상면 주위의 관상면에서 운동이 일어난다. 엄지손가락은 예외이다.

곡과 신전, 외전과 내전 이러한 기본면에서는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운동과 면과 축의 관계에서 관절을 운동을 요악한 것이다.

 

                        

도표 3-3 관절운동

 

관절운동

시상면

전축

굴곡 / 신전

관상면

시상축

외전 / 내전

요골 / 척골 이탈

외번 / 내번

수평면

수직축

내측 / 외측회전

회외 / 회외

오른, 왼 회전

수평외전/수평내전

 

 

자유도 Degrees of Freedom

 

*자유도- 한계의 모든 다양한 성질에 대한 값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독립량의 수

관절은 또한 자유도 또는 움직일 수 있는 면의 수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1)축 관절은 한 면이나 한축 주위를 움직임을 갖는다.

게다가 일축관절은 일(1) 자유도를 갖는다. (2)축 관절은 두(2)개의 자유도를 갖는다.

(3)축 고나절은 3개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개별관절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자유도이다. 이 개념은 하나 이상의 말단관절을 다룰 때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어깨관절은 3개의 자유도를 가지고, 주관절과 요골척골관절은

각각 하나의 자유도를 가진다. 견관절 주관절, 요골척골관절은

합쳐 5개의 자유도를 갖는다.

손가락부터 어깨까지 전체 사지는 11개의 자유도를 가진다.


'근육학&해부생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4장 관절 운동상학적 운동 번역본  (0) 2019.03.19
상완신경총과 부수신경   (0) 2019.03.17
골격계  (0) 2019.03.06
관절의 운동범위(ROM)  (0) 2019.03.04
등의 7개의 천층에서 심층까지   (0) 2019.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