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해부생리

관절의 운동범위(ROM)

관절운동(Joint Movement)

골운동학적(Osteokinematic)

 

관절은 매우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임을 갖는다.

기술된 것처럼 운동은 관절축(axes)중심과 관절면(planes)을 통해 일어난다.

다음의 용어는 활막성관절(Synovial joint)(Fig.1-8)의 다용한 운동을 기술한다.

활막성관절은 자유가동관절로 80%정도가 이 관절 형태이다.

이 활막성 관절은 Chapter 3에서 다룰까 해요.

 

이 각 관절의 운동을 골운동학적이다 한다. 이것은 관절의 축주위의

뼈의 운동의 상호관계를 다루는 것이고,(eg, 견갑골에서의 상완골 운동),

 반면에 관절운동학적은 관절표면의 상호관계를 다룬다.

(eg, 견갑골의 관절와에서의 상완골두의 운동)

이것은 Chapter 4에서 더 깊게 다루고자 해요.

 

 

굴곡(Flexion)은 뼈와 뼈 사이 즉, 관절의 각(angle)움직임이 작아지는 것으로

대개 관절 뼈 전면 사이에서 일어난다.

경추의 경우 굴곡은 고개를 숙여 인사하는 것 (Fig. 1-8 A)

그러나 슬관절에서는 앞쪽에서가 아니라 뒤쪽에서 굴곡이 일어난다.

(발뒤꿈치 엉덩이 닿기),

고관절에서 굴곡은 하지(다리)가 몸통으로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사실 굴곡이 관절 각도의 증가나 감소를 나타내는 지의 여부는

당신의 관점에 달려있다.

이전에 언급했듯이 굴곡은 180(완전신전)에서 시작하여

0도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절의 각도가 감소한다.

그러나 팔꿈치 굴곡 각도 측정을 할 때는 0(zero)로 간주되는

해부학적 위치에서 실시한다.(완전신전)

이때 굴곡은 180도 정도로 각이 증가한다.

이 경우에 굴곡은 관절의 각도 증가를 나타낸다.( Fig.1-8 D)

 

 

정반대로 신전(Extension)은 관절의 각을 증가하기 위해 뼈와 다른 뼈를

직선화시키는 운동이다.

운동은 대개 몸을 굴곡 시킨 후에 해부학적 자세로 되돌린다.

 

(Fig.1-8 B.E) 과신전(Hyperextension)은 해부학적 자세에서

끓임 없이 신전되는 운동

(굴곡이 없이 신전만 일어날 때) (Fig.1-8C)

손목에서굴곡은 손바닥(저축)굴곡

(Palmar flexion)(Fig.1-8 F), 발목에서 굴곡은 저측굴곡(plantar flexion)

(Fig. 1-8H)이라하고,

손목과 발목에서의 신전은 둘 다 배측굴곡(Dorsal flextion)이라 한다.(Fig. 1-8G, I)

 

 

그림 1-8. 관절의 운동의 굴곡과 신전

 

 

 

외전(Abduction)은 몸의 정중선(midline)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이며,(Fig. 1-9A),

내전(Adduction)은 정중선으로 가는 움직임을 말한다.(Fig. 1-9 B),

 이 정중선의 정의에 예외는 손가락과 발가락이다.

가운데 손가락에서 멀어지는 것을 외전이라 한다.

가운데 손가락은 외전을 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좌우로)하지만 외전에서 중심선까지 되돌아오는 움직임으로만 나타난다.

발가락기준점은 둘째 발가락이다. 가운데 손가락과 비슷하게

두 번째 발가락은 오른쪽과 왼쪽을 외전하지만,

외전으로부터 돌아오는 움직임 외에는 따라가지 않는다.

견관절이 90도 굴곡하고 내전할 때, 이것을 수평내전(horizontal abduction)

(Fig.1-9C)라고 하고, 만약 어깨가 90도 자세에서 내전되면 이것을 수평내전(hori-

zontal adduction)이라고 한다.(Fig. 1-9 D)

 

손목에서 내전과 외전은 더 자주 사용되는 용어는

요골(radial), 척골(Ulnar) 이탈(deviation)으로

손이 외측과 엄지손가락 쪽으로 향하는 것을 요골이탈(radial deviation)이라 한다.

(Fig. 1-9E) 손이 해부학적 자세에서 손목의 새끼 손가락 쪽으로 내측으로

 움직일 때 이것을 척측이탈(Ulnar deviation)이라 한다.

 

몸통이 외측으로 움직일 때 외측굴곡(lateral flexion)이라 한다.

몸통은 오른쪽 왼쪽으로 외측굴곡 할 수 있다. (Fig. 1-9 G.H)

만약 오른쪽 몸통이 굴곡되면, 어깨는 오른쪽 엉덩이 쪽으로 움직인다.

이것을 오른 외측굴곡이라 한다. 외측굴곡은 때때로

측면 운동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이 용어는 굴곡과 쉽게 혼동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그림 1-9. 관절의 운동의 외전과 내전   

 

 

 

그림 1-10 회선/ 원회전 운동

 

회선, 원회전(Circumduction)은 원형이나 원뿔 모양의 패턴의 운동이다.

이 운동은 가지 복합 운동으로 (1) 굴곡 (2)외전 (3) 신전 (4)내전의

형태로 이루어진 운동이다. 예를 들면 만약 어깨가 원형을 그리면서

운동하면, 손은 더 큰 원을 그리면서 움직인다.

팔 전체는 원뿔 형 패턴으로 움직인다.(Fig. 1-10)

    

 

 

 

 

 

그림 1-11. 관절의 회전운동  

 

회전(rotation)은 뼈 또는 그 장축 주위를 도는 운동이다.

 만약 앞면이 중심선을 향해 내측으로 움직이면

이것을 내측회전(Fig.1-11A)이라한다.

때때로 내회전(Internal rotation)이라고도 한다.

반대로 만약 앞면이 중심선의 외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외측회전이라 한다.(Fig. 1-11B)

또는 외회전(External rotation)이라고 부른다.

, 목통은 좌우로 회전한다.(Fig.1-11 E, D) 오른 어깨 너머로 목의 회전을 상상하라.

이것을 목의 오른회전이라 한다.

 

전완의 회전은 회내(Pronation)과 회외(supination)으로 구분된다.

전완의 해부학적자세에서 회외(Fig. 11E)는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거나

앞쪽으로 향한다. 회내는 손바닥이 뒤쪽으로 향하거나 뒤쪽으로 향한다.

팔꿈치가 굴곡 될 때 손바닥이 위쪽이 회외이고 손바닥이 아래쪽은 회내이다.

 

다음은 특정관절에 특유한 운동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

내번(Inversion)은 발바닥을 발목 내측으로 운동하는 것이다.(Fig.1-12 A)

외번(Eversion 1-12B)은 발목을 외측으로 돌리는 것을 말한다.

 

 

 

그림 1-12 발목의 내번과 외번

 

 

 

 

그림 1-13. 견갑골의 전인과 후인 운동

 

 

전인(Protraction)은 대부분지면에서 평행하고 중심선에서 멀리 떨어진

 평면을 따라 일차적(1) 운동(선형운동)으로 움직인다. (Fig.1-13 A)

 

후인(Retraction)은 대부분 같은 평면에서 중심선을 향해

일차적(선형)운동으로 움직인다.(Fig.1-13B)

 

어깨대의 후인은 턱의 전인과 마찬가지로 견갑골이 중심선에서 멀리 떨어지게 한다.

반면에 이 두 경우의 전인은 신체부분이 중심선을

향하거나 해부학적 위치로 뒤돌아간다.

 

'근육학&해부생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계 제 3장 번역서   (0) 2019.03.10
골격계  (0) 2019.03.06
등의 7개의 천층에서 심층까지   (0) 2019.02.26
허벅지내전근   (0) 2019.02.25
대퇴사두근/ 봉공근 해부생리   (0) 2019.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