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해부생리

흉쇄유돌근의 해부생리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기시와 정지에 의해 지어진 근육으로 천층인 흉골지(Sternal head)와

그 심층인 쇄골지(Clavicular head)로 나눈다.

내측의 흉골지와 외측의 쇄골지가 중간정도에 합쳐져 유양돌기에 정지한다.

승모근의 길항근으로 양쪽 근육이 작용하면 목을 굴곡시킨다.

승모근과 같이 부신경의 영향을 받아 스트레스에 근육이 경직되는 근육으로

얼굴과 두피, 통증없는 자세적인 어지러움이 대표적인 통증의 형태이다.





        그림 1) 내측: 흉골지(Sternal head)   외측: 심층인 쇄골지(Clavicular head)


                                                                        -신경지배 (Innervation of Nerve)

                                    흉쇄유돌근을 제거하면 그 심층에 노란색인 뇌신경의 제11번째 신경인 부신경(Accessory nerve)

                             이 승모근과 흉쇄유돌근을 지배하여 신경의 문제시 목의 굴곡과 좌 우 회전인 불가능해 작은 알약

                              조차 삼키지 못한다. 또한 척수신경은 경신경총(Cervical plexus)의 지배를 받는다.

                                                                     그림 2) 흉쇄유돌근의 심층의 부신경과 경추신경총( 노란색)


    - 흉쇄유돌근의 기시(Origin)



                           그림  3) 왼쪽: 흉골지의 기시: 훙골병(Sternal Manubrium        오른쪽: 쇄골지의 기tl: 쇄골내측1/2


                                                        - 흉쇄유돌근의 정지(Insertion)


                                       그림 4) 왼쪽: 정지: 측두골의 유양돌기                     오른쪽: 정지: 후두골의 상부 목덜미인대



                          그림 5) 흉쇄유돌근을 제거하면 그 심층에 사각근이 보인다. 노란색 상완신경총이 전, 중 사각근 사이로 지나 팔로 내려가고

                                          내측에는 경동맥(빨간색)과 내경정맥(녹색) 팔에는 액와동맥과 액와정맥(파란색)이 보인다


         - 흉쇄유돌근의 작용(Action)



         그림 6)  한쪽 근육만 작용 시(Unilateral contraction): 외측굴곡(Lateral flextion), 머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Rotation)

                     양쪽근육 작용 시(Bilateral contraction): 머리를 올리고, 목을 굴곡시킨다.


                                  촐처: By Ken h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