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웨디시마사지

액와신경(Axilary Nerve)의 해부 생리 액와신경 액와신경은 경추 5번과 6번에서 기시하여 겨드랑이로 들어가 전구획과 후구획으로 나눈다 앞쪽의 신경가지는 심각근을 지배하고 뒤쪽의 가지는 소원근을 지배한다. 신경 전달 속도가 문제가 되면 팔의 외전이 30-60도 정도에서 힘들어지고 저린감과 마비감이 온다. 그림 1) 액와.. 더보기
근피신경 (Musculocutaneous Nerve)의 해부생리 근피신경 Musculocutaneous Nerve 근피신경은 상완신경총의 하나로, 근육과 피부를 합친 신경으로 경추5,6번에서 기시한다. 주로 상완골에 있는 근육인 상완이두근, 오구완근 상완근을 지배한다. 신경 감각의 분포는 전완(아래팔)의 앞쪽(Anterior)외측(lateral)의 표면에 분포한다. 신경압박 시 약화.. 더보기
정중신경(Median nerve)의 해부&생리 정중신경 C6,7,8 T1 상완신경총(위팔 신경총)의 한분류로 팔의 굴곡근의 지배하고 문제 시 수근관증후군의 문제를 일으키고 엄지와 손가락 감각이 상실된다. 회내상실과 엄지대립근(외전)상실 원숭이 손가락이 된다(손가락이 벌어짐) 그림 1) 정중신경: 녹색의 신경은 목의 낮은 쪽에서 손.. 더보기
힙(고관절)내전근 Hip Adductors muscles의 해부생리 Hip Adductors Area, Origin, Insertion, Innervation, Action 그림 1) 힙내전근의 6 가지 근육들: 봉공근과 대퇴골의 안쪽에 위치하는 6가지 근육을 말한다. 그림 2) 힙내전근의 신경:폐쇄신경(녹색)영향으로 대퇴를 내전시킨다. 그림 3) 치골근; Pectineus 는 영어로 Comb이라는 뜻으로 서혜인대를 가로 지르는 .. 더보기
대둔근 Gluteus Maximus Muscle의 해부 대둔근 Gluteus Maximus Muscle Area, origin(기시), Insertion(정지), Function(작용) 그림 1) 대둔근(녹색): 둔부에서 가장 큰 근육으로 천장관절과 좌골조면의 통증을 일으킨다. 그림 2) 대둔근의 신경지배: 하둔신경(녹색)의 지배를 받는다. 그림 3) 대둔근의 기시: 천골과 장골의 후둔근선의 뒤쪽, 천결절인대에서 기시한다. 사각형의 근육이다. 그림 4) 대둔근의 정지: 대전자에 정지되어 장경인대와 연결되어 경골두까지 간다. 그림 5) 대둔근의 작용: 슬관절을 굴곡하고 허리를 쭉 편 상태에서 하중을 들어 올릴 때, 계단을 올라 갈 때 고관절을 신전시키는 동적인 역할을 담담한다. 대둔근이 약해지면 허리의 전만이 수반되어 새우등이 된다. 더보기
장요근 Iliopsoas muscle의 해부생리 장요근 Iliopsoas muscle - 허리의 수직으로 내려가는 통증, 서혜부 내 통증 - 인체에서 유일하게 상체와 하체를 직접적으로 이어주는 근육 - 고관절의 강력한 굴곡근 - 요방형근과 후벽복을 이룬다 - 약하 시 노인걸음, 노년의 무릎 통증의 원인근 - 허벅지 근막을 긴장시켜 고관절 안정성 도모.. 더보기
사각근scalene muscle의 해부생리 사각근 scalene Muscle 팔저림의 원인근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사각근Scalene의 뜻은 'uneven'으로 각이 직선이 아니라는 뜻으로 사선형이다 그림 1) 사각근 scalene muscle: 흉쇄유돌근 심층의 경추에 붙어있다, 목갈비근이라고도 한다 그림 2) 사각근 신경지배(Innervation): 경추3-경추8번.. 더보기
쇄골하근 subclavius muscle의 해부생리 쇄골하근 subclavius 쇄골 아래의 근육으로 상완신경총과 동맥 정맥을 압박하여 흉곽출구 증후군을 일으킨다 그림 1) 쇄골하근: 대흉근의 심층의 근육 흉곽과 쇄골의 내측에 근육드러나고 나머지는 쇄골의 밑에 있다 그림 2) 쇄골하근 기시(Origin): 첫번째 갈비뼈, 연골과 갈비뼈접합부 그림 3..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