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체 해부 생리

피부의 감각신경과 뇌과의 관계

                피부의 감각신경과 뇌의 관계

 

 체외 및 체내에 발생되는 각종 자극을 수용하는 감각신경종말은 신경원수상돌기에 해당되며, 온몸에 분포되어 있으나

감각에 따라 그 수용기의 구조는 다르다. 즉 수용기는 수상돌기가 아무런 피막도 없이 끝나는 단순한 자유종말이고,

나머지 감각종말은 복잡한 종구(Endbulb)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각종말들이 독립된 하나의 감각만을

수용하는지는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감각기로서의 피부

 

 피부는 몸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다섯 가지 감각을 감지하는 수용기가 있다. 표피(Epidermis)의 아래층에 해당되는

진피(Dermis)에는 온각, 냉각, 통각, 촉각을 감지하는 정상수용기가 있다. 수용기가 받은 자극은 감각신경에서 대뇌의

신체감각영역과 신체감각연합영역으로 전달되어 비로소 뜨겁거나 차가운 감각을 감지한다.

 

다섯 가지 감각

 피부표면에는 다섯 가지 감각을 감지하는 감각점이 점점이 흩어져있다. 감각점은 각각의 감각수용기가 있는

부분에 따라서 존재한다.

 

신경말단 Or자유종말(Free Ending): 표피 안에 있는 수상돌기가 피막이 없는 상태로 상피조직, 결합조직,

근조직 및 점막조직 내에 미치고 있는 통각수용기(Pain receper)이다. 일부의 촉각이나 온각, 냉각(차가운 것을

닿을 때 피부온도가 내려가는 것을 감지한다) 등의 수용체로 작용한다.

 

마이스너소체(Meissner's Corpuscle): 나선상으로 구부러진 수상돌기를 결합조직이 싸고 있는 타원형의

작은소체로 “가벼운 촉각수용기(Light Touch Recepor)" 이다. 진피의 유두 내에 있으며, 특히 손과 발, 입술,

혀의 점막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파치니소체(Pacinian Corpuscle): 압각수용기(Heavier Pressure)로 층판소체(lamellated Corpuscle)라고도

하는데 피하, 장막하 및 소성결합조직내의 깊은 속에 우치한다.

 

크라우제소체(종구, Endbulb of Krause): 냉각수용기로 몸 전체에 널리 펴져 있다.

 

루피니소체(Ruffini' s Corpuscle): 온각수용기(Warm Receptor)로 피하조직 내에 분포하고 있으며

  난원형의 모양이다.

 

민감한 부분과 둔감한 부분

 

 그런데 수용기는 피부표면에 골고루 분포하는 것이 아니라, 모여 있는 부분과 드문 드문 있는 부분이 있다.

피부표면에 작은 몽둥이로 두 점을 동시에 대는 두 점 역치 실험을 하면 손가락 끝은 수용기가 많아서 거리가

약간만 떨어져도 두 점을 분명하게 느끼지만 대퇴부와 등은 수용기가 적어서 두 점의 거리가 어느 정도 많이

떨어질때까지 한 점을 누르는 것처럼 느낀다.

 

  그림) 피부의 감각신경종말과 뇌와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