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육학&해부생리

척수신경의 이해 1

척수신경 Spinal Nerve

 

척수신경은 척수분절에 대응해서 척수양측을 출입하는 31쌍의 말초신경으로 이들은 추간공을 통해서 척주관을 나오는데,

경신경(cervical nerve; C1~C8) 8, 흉신경(thoracic nerve; T1-T12)12,

요신경(lumbar nerve: L1~L5)5, 천골신경(sacral nerve; Sl~ S)5, 미골신경(coccygeal nerve ; C0)1으로 구분한다.

각각의 척수신경은 운동성인 전근(anterior root) 과 감각성인 후근(posterior root)으로

구성되는 후근은 추간공속에서 감각세포들이 집단을 이루어 타원형으로 팽대한 척수신경절(spinal ganglion)

형성하고 전근과 만나 공동신경간을 이룬다. 이어서 추간공을 나온 후 전지(anterior ramus)

후지(posterior ramus)로 나누어지며, 또한 척수경 막에 분포하는 경막지(meningeal ramus)

교감 신경과 연락하는 교통지(communicating ramus) 분지 한다.


교통지(communicating ramus): 교감신경 절에 연결된 신경섬유는 유수신경섬유(유수신경섬유는 수초(Myelin)라고 하는

지질성분의 구조물로 싸여 있는 축삭돌기를 칭한다.

축삭돌기 전체를 수초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아니고 1mm간격으로 수초가 없는 부위가 있다.

이것을 랑비에결절(node of ranvier)로 되어 있어 백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백교통지(white commu- nicating ramus)라고 하며,

교감신경절에서 나와 척수신경에 보내는 2~3개의 교통지는 무수신경섬유로 되어 있어

회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회백교통지 (gray communicating ramus)라고 하는데

이들은 교감신경의 절후신경섬유로서 평활근과 분비선 등 에 분포한다.


후지(posterior ramus): 일반적으로 전지보다 발달이 덜한 후지 은 횡돌기 사이 뒤로

나와 내측 및 외측지 (medial & lateral branches)로 나뉘어 주로 척주의 양측에 있는 배근과

그 부위의 피부에 분포한다.

그러나 제 1 및 제 2경신경의 후지는 전지보다 더 커 후두하신경 (suboccipital n.)

대후두신경 (great occipital m)을 이루면서 후두 하부에 분포한다.

흉신경의 후지는 흉부의 후벽을 구성하는 고유배근인 척주기립근들을 지배하며,

그 피부의 영역까지 분포하고 있고, 요신경의 후지는 허리의 고유배근과 그 피부 영역에 분포하는데,

그중 상둔피신경(superior gluteal cutaneous n.)은 둔부 피부에 분포한다.

또한 천골신경의 후지는 천골의 후천골공을 나와 천 골부의 고유배근과 천골 및 미골부에 분포한다.


전지(anterior ramus): 대부분의 전지는 후지보다 강대하며, 그 분포 영역도 넓어서 경부와

체간의 앞쪽에서부터 외측방, 그리고 상지와 하지의 모든 영역을 지배한다.

이러한 전지는 추간공을 나온 후 다시 척주의 외측에서 서로 문합하여 척수신경총(spinal plexus)을 형성하는데,

위치에 따라 경신경총(cervical plexus:C1~C), 상완신경총(branchial plexus;C5-T1),

요신경총(lumbar plexus;T12~L4), 천골신경총(sacral plexus:L4-S5),

미골신경총(coccygea plexus; S4 -C0)으로 구분한다

 각 척수신경총에서 출발한 신경섬유는 말초신경으로서의 고유 명칭을 가지고 있고,

그 분지는 다시 근육에 분포하여 신체 운동에 관여하는 근육지(muscular Branch)와 피부에 분포하여

감각에 관여하는 피지(cutaneous branch)로 분류된다. 그러나 흉신경은 신경총을 형성하지 않고

고유의 신경형태를 가져 12쌍의 늑간신경을 이루어 개별적으로 각각의 늑간근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