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신경 Cranial nerve
뇌신경 12쌍으로 독일의 줨머링(1755-1830)에 의해 발견되었다.
뇌신경은 뇌에서 나오는 말초신경(Peripheral nervous system)으로 두개골을 통해 빠져나와
주로 머리, 얼굴, 목과 어깨를 분포한다. 그러나 미주신경은 광범위하게 가지가 구성되어
흉강과 복강전체로 연결되어 있다, 운동(moter)과 감각(Sensory)또는 혼합성(mixed)섬유로 나눈다.
뇌신경은 항상 로마숫자로 표기된 특정번호를 갖으며 이름도 갖고 있다.
그림) 12쌍의 뇌신경
1) 감각신경(Sensorynerves): 제1 후신경(Olfactory N.Ⅰ) 제2 시신경(Optic N.Ⅱ)
제8 전정와우신경(Vestibulocochlear N.Ⅷ)
2) 운동신경(Moter Nerves): 제3 동안신경(Oculomoter N. Ⅲ 혼합형), 제4 활차 신경(Trochlear N.Ⅳ혼합형),
제6 외전신경(Abducens N. Ⅵ 혼합형), 제12 설하신경(Hypoglossal N.Ⅻ혼합형)
3) 혼합형신경(Mixed Nerves): 제5 삼차신경(Trigeminal N.Ⅴ), 제7 안면신경(Facial N.Ⅶ),
제9 설인신경(Glossopharyngeal N.Ⅸ)
1. 제1 후신경(Olfactory N.Ⅰ): 감각신경은 정보를 코에서 뇌로 운반한다. 후신경은 냄새 감각과 관련하여
머리 상해 시 냄새 감각을 잃게 되는 무후각증(anosmia)의 증상이 나타난다.
미각 상실의 결과로 음식의 맛이 단조로워진다.
2. 제2 시신경(Optic N.Ⅱ): 감각신경으로 시각 정보를 눈에서 뇌(특히 대뇌의 후두엽)로 운반한다.
시신경의 손상은 시각소실(실명,anopsia)을 일으킨다.
3. 제3 동안신경(Oculomoter N.Ⅲ): 운동신경으로 외안근을 지배하여 수축을 일으키며, 안구를 움직이는데,
눈꺼풀을 올리고 눈의 동공을 움직이는데 관여한다. 이동하는 물체를 쫓는
눈의 능력검사(눈의 폭주능력검사: 운동 시 활동 시 뇌를 다쳐 만년필 형 전동으로 검사한다)
두개골 내압의 증가는 동안신경을 누를 수 있으며, 빛에 반응하는 눈의 동공이 능력을 방해 할 수 있다.
이때 동공은 팽창되거나 고정된다고 말한다. 위쪽 눈꺼풀 처짐(안검하수증),
동공반사의 결여(팽창되고 고정된 동공은 두개골내압의 증가를 의미한다) 어떤 물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어려워진다.
4. 제4 활차신경(Trochlear N.Ⅳ): 중뇌에서 기시하는 운동신경으로 도르레라는 의미로 안구의
외안근육들 중 하나를 수축시키며 안구를 외측으로 회전시키는 움직임에 관여한다.
문제 시 복시(Diplopsia, 안근마비로 물체가 이중으로 보임), 사시(Strabismus, 사팔뜨기)를 일으킨다.
5. 제5 삼차신경(Trigeminal N.Ⅴ): 혼합신경으로 얼굴부위에 분포하는 세 가지 가지를 가진 가장 큰 신경으로 문제 시
통증의 왕이라고 칭한다. 세 개의 감각가지는 두피, 안면, 치아로부터 오는 접촉, 압력, 통증과
관련한 정보를 뇌로 운반한다. 운동가지는 저작(교근)근육에 관여한다.
삼차신경은 신경통을 경험 할 수 있는데 이를 삼차신경통이라 일컫는 것으로
심한 얼굴 통증의 발작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통증은 먹기, 면도하기,
가벼운 바람의 노출, 차가운 온도에 노출하는 것 같은 사건에 의해 유발한다.
이 유발을 피하기 위한 노력으로 환자는 자주 먹는 것, 면도하는 것, 추운 날 집밖으로 나가는 것을
거부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6. 제6 외전신경(Abducens N.Ⅵ): 운동신경으로 외안근들 중 오직 하나만을 지배함으로써 눈의 움직임에 관여한다.
문제시 동공(Eyeball)을 외측으로 움직이지 못하여 중앙을 둔다.
제7 얼굴신경(Facial N.Ⅶ): 주로 운동 신경을 수행하는 혼합신경으로 감각신경은 미각으로 얼굴표정과
타액 및 눈물의 분비에도 관여한다. 만약 얼굴신경 손상 시 얼굴표정이 일굴 손상된 쪽에서 감소한다.
이를 Bell’s palsy(마비) 라고 칭한다. 미각상실과 잠을 잘 때도 눈을 감지 못한다. 휘파람,
이마에 주름잡기가 어렵고, 음식을 먹을 때는 눈물을 흘리는 악어의 눈물신드롬이 일어난다.
표면적으로 얼굴의 한쪽 면은 웃고 활발히 움직일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얼굴은 무표정하거나
축 늘어져 있기 때문에 매우 고통스럽다. 특히 눈가와 입가가 대칭적으로 처진다.
8. 제8 전정와우신경(Vestibulocochlear N.Ⅷ): 청각신경과 감각신경은 균형에 관한 정보를 귀에서 뇌로 운반한다.
전정가지는 평형 또는 균형을 담당하고 와우가지는 청각을 담당한다. 이 신경의 손상은 청각 또는 균형의 손실을
일으키거나 모두에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문제시 이명(tinnitis)과 균형의 소실(어지러움)이
동공이 빠르게 움직임이 일어난다.
9. 제9 설인신경(Glossopharyneal N.Ⅸ): 혀의 후면에서 뇌로 맛감각을 운반하는 혼합신경이다.
이차 감각신경은 혈압의 조절을 포함한다. 운동섬유는 입에서 타액선의 분비를 자극한다.
나머지 운동섬유는 목구멍을 지배하고 삼키기에 관여한다. 설인신경은 구역반사와 관여한다.
구토반사(Gag reflex)는 음식과 물이 호흡 통로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정상적으로 어떤 물질이 잘못된 통로로 내려갈 때 기도가 깨끗하게 될 때까지 구역질과 기침을 하게 된다.
구역반사와 소실은 숨 막히는 위험을 초래한다. 연하작용(삼키기) 어려움과 감소된 침 분비가 일어난다.
미각을 상실한다.
10. 제10 미주신경(Vagus N.Ⅹ): 흉강과 복강 내에 있는 대부분의 기관(폐, 위, 장)으로 가지가 연결되어 있다.
미주신경의 감각섬유는 혈압조절에 참여하며, 운동섬유는 목구멍 안에 후두와 선을 지배하고
전체 소화관(내장근의 수축과 신전)에 관여하고 소화액을 분비한다. 미주(Vagus)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
방랑자를 의미한다. 이 명칭은 신경의 광범위한 분포한 관계가 있다.
문제 시 연구개의 처짐과 성대주름의 마비 때문에 쉰 목소리가 나타난다.
11. 제11 부신경(Accessory N.Ⅺ): 혼합신경지만 운동신경이 우세하다.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을 지배하고
머리와 어깨부위를 움직일 때 조절하여 어깨를 으쓱하게 하고 목의 회전과 굴곡, 신전을 하게한다.
문제시에는 목을 들 수가 없어 삼킬 수 없게되어 작은 알약조차도 먹기 어렵고
어깨를 으쓱하거나 목을 돌릴 수도 없게 된다.
12. 제12 설하신경(Hypoglossal N.Ⅻ): 혼합신경이지만 운동신경이 우세하다. 운동신경은 혀를 움직여 말하기,
음식말기 등의 작용을 한다. 문제시는 혀 말기와 혀 움직이기가 힘들어져 말하기와 발음이 문제가 된다.
저작과 연하가 곤란해진다. 혀가 입 밖으로 늘러지게 되고 어느 한쪽의 혀가 가늘어진다.
'인체 해부 생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을 읽고 기억하는 과정 (0) | 2018.11.11 |
---|---|
말을 하고 이해하는 과정 (0) | 2018.11.10 |
정상전립선과 비대해진 전립선 (0) | 2018.07.24 |
태아가 영양을 섭취하는 방법 (0) | 2017.03.13 |
스트레스 시 우리몸에 일어나는 각종 반응들 (0) | 2017.01.29 |